전체 글 1107

부대 사열: 첫 번째 인구 조사(민수 1장 - 2장)

이스라엘 자손들에 대한 인구 조사는 앞으로의 전투를 대비한 것이다. 레위 지파는 증언판을 모신 성막을 지키는 일을 하게 된다.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에서 탈출 시키신 후, 그들에게 사람다운 삶 즉 거룩한 삶을 위한 율법을 주시고, 정신적 지주인 당신께서 직접 거처하실 성막을 세우게 하신 다음, 군사 작전에 필요한 병력 관리를 하게 하신다.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면밀한 운영 계획을 직접 주도하신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 사회에도 대부분 그대로 적용되는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다. 인구조사는 성막을 세운 후(탈출 40, 7) 한 달 뒤에 전투 목적으로 탈출 2년 2월 1일에 실시한다. 이스라엘에서 전쟁에 나갈 수 있는 스무 살 이상된 남자들을 부대(지파)별로 사열한다(민수 1, 3..

오경/민수기 2022.03.22

갈릴래아 호수

갈릴래아 호수는 예수님의 공적 여정에서 중심지이다. 갈릴래아 호숫가에 위치한 마을들 가운데 카파르나움, 벳사이다, 티베리아스, 달마누타 등이 성경에 나온다. 갈릴래아 호수는 해수면보다 209~217미터 아래에 있다. 길이는 약 21킬로미터, 너비는 약 13킬로미터이다. 깊이는 약 43미터로 지구 상에서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담수호이다. 이번 여정은 나자렛(지도 1)에서 카나(지도 2), 티베리아스(지도 4), 갈릴래아 호수(지도 5)를 거쳐 긴노사르 항(지도 6)으로 가는 행로이다. 아래 사진은 갈릴래아 호수가 보이는 곳에 위치한 해수면 표지판이 세워진 곳이다. 갈릴래아 호수 남쪽 마아간 지역이다. 이곳은 예수님께서 티로와 시돈을 지나 데카폴리스 한 가운데를 지나 도착한 호숫가이다. 예수님께서는 이곳 ..

시온 가는 발걸음

제자들아! 마지막 나의 여정. 이제 한 주 남았구나. 자, 일어나 시온으로 가자! 베드로야! 나의 반석아! 네가 날 무엇이라 하였느냐?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라 하지 않았느냐? 요한아! 내 사랑하는 제자야! 너는 나에게 무엇을 부탁했느냐? 내가 영광 받을 때, 곁에 앉게 해달라 하지 않았느냐? 제자들아! 내 너희 둘에게. 먼저 가, 나귀 끌고 오라 했다. 왜 그리 했는지 아느냐? 예루살렘 가는 길, 멀고 험하더냐? 위험하더냐? 우리, 자주 오갔던 길이 아니더냐? 내가 예언자가 아니더냐. 내가 그리스도가 아니더냐. 내가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더냐. 내 어찌 내 앞 날을 모르겠느냐? 길바닥에 겉옷 깔고, 손에 종려나뭇가지 들고, 좋아라 발 구르며 팔 휘저으며 할 함성, 호산나! 내 어찌 모르겠느냐?..

삶과 영성 2022.03.18

요나탄아, 요나탄아! 거룩함이 무엇이냐?

요나탄아, 요나탄아! 거룩함이 무엇이냐? 요나탄(판관 18, 30)아! 너의 아버지의 아버지가 누구냐? 내가 시나이 산에서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하던 그 사람이 아니냐? 나와 계약을 맺고 내가 살 집을 세워 봉헌하고. 그 집과 사제들을 축성하도록 파견한 나의 사제가 아니었더냐? 요나탄아! 누가 너를 내쫓더냐? 누가 너를 나그네살이 하게 하였느냐(판관 17, 7)? 무엇이 너를 그렇게 하도록 하였느냐? 아론의 금송아지에(탈출 32, 4) 내린 나의 진노를 들었지 않았느냐? 어찌하여 우상의 사제가 되었느냐? 요나탄아! 내가 말했던 사제의 나라와 거룩한 민족이(탈출 19, 6) 무엇이더냐? 내가 한 모든 말을 그대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더냐? 내가 너의 처지를 이해한다 해도, 사제로 처신한 네가(판관 18, 1..

삶과 영성 2022.03.13

성체조배

성체조배, 이 자료는 성 십자가의 요한의 저서의 역서(방효익 바오로 신부)와 묵상기도와 성체조배(박종인 라이문도 신부, 가르멜수도회)를 참조하여 편집하였음을 밝힌다. 참고로 십자가의 요한의 저서에는 어둔밤, 가르멜의 산길, 영가, 사랑의 산 불꽃 등이 있으며, 이들 저서는 방효익 신부님에 의해 번역 출간되어 있다. 성체조배 목차 1. 개요 1) 하느님의 현존체험 2) 미사성제와 실체변화 3) 우정의 나눔 4) 하느님이 계신 성전이며 작은 하늘인 영혼 5)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바라시는 것 6) 묵상기도로 하는 하느님 현존수업 2. 성체조배 방법 1) 몸의 자세 2) 마음의 자세 3) 기도와 사도직 ① 주님과 일치하는 기도의 효과와 필요성 ② 올바른 기도와 주님과의 일치가 필요한 사도직 4) 하느님 현존수업..

삶과 영성 2022.03.10

묵상기도와 관상기도

묵상기도와 관상기도, 이 자료는 성 십자가의 요한의 저서의 역서(방효익 바오로 신부)와 묵상기도와 성체조배(박종인 라이문도 신부, 가르멜수도회)를 참조하여 편집하였음을 밝힌다. 참고로 십자가의 요한의 저서에는 어둔밤, 가르멜의 산길, 영가, 사랑의 산 불꽃 등이 있으며, 이들 저서는 방효익 신부님에 의해 번역 출간되어 있다. 묵상기도와 관상기도 목차 1. 묵상과 묵상기도의 차이 2. 묵상기도는 사랑의 행위 3.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 4. 자녀의 청을 들어주시는 하느님 5. 성녀 예수의 데레사의 하느님 현존수업 방법 6. 우리는 하느님의 성전 7. 묵상기도의 순서 8. 묵상기도는 하느님과의 대화 9. 구송기도의 묵상기도화 10. 마음으로 가까이 모시는 예수님 11. 굳은 결심과 항구심 12. 쉽고 효과적..

삶과 영성 2022.03.10

생명의 빵을 먹으려면!

요한의 죽음 소식에 호수 건너 외딴곳으로 가신 예수님. 당신 마음 아랑곳없이 따라나선 군중들. 가엾은 마음에 고쳐주고 먹이시니, 오병이어의 기적 그리고 남은 조각이 열두 광주리.(마태 14) 모세를 손바닥으로 가리시고 지나가신 하느님(탈출 33, 22)처럼 호수 위를 지르밟고 지나신 예수님. 맞바람에 거칠어진 바다를 잠재우듯 격랑의 마음 바다를 어름싸며 지나가신다. 세상사에 출렁이는 저희를 위해 영원한 생명의 말씀을 주시고, 내가 생명의 빵이니 나를 먹어라하시나 어찌 당신을 그리 할 수 있습니까? 사람아, 살다 가면 뻔한 한 줌 흙 될 줄 알면서도 잡아 먹힌 짐승처럼 그리 먹고 마시나? 하느님께선 이리 주시려 다시 오지 않으셨다. 천지창조 홍수 끝난 뒤 이미 주셨기 때문이다(창세 1, 29; 창세 9, ..

삶과 영성 2022.03.09

거룩한 문에 이르는 좁은 길

수많은 삶 속엔 무수한 길이 있다. 어떤 길을 선택할지가 그 사람의 자유라지만 삶의 여정이 그 길 안에서 시작되어 마무리되니 누구에게나 어려운 일이다. 흠 없고 올곧으며 하느님을 경외하고 악을 멀리했던 욥. 그도 이렇게 말했다. 두려워 떨던 것이 나에게 닥치고 무서워하던 것이 나에게 들이쳐 나는 편치 않고 쉬지도 못하며 안식을 누리지도 못하고 혼란하기만 하구나.(욥기 3, 25-26) 삶의 길에는 육신만을 위한 길, 영혼을 위한 길이 있으니, 어떠한 길을 선택해야 할까? 군중이 따르자 산으로 오르신 당신. 하느님의 영이 비둘기처럼 내려오신(마태 3, 16) 당신의 말씀으로(마태 5, 1 - 7, 29) 생각해본다. 슬퍼해 주고, 온유해지고, 마음을 가난하게 하여 내 자신을 비우자. 의로움에 주리고, 자비..

삶과 영성 2022.03.08

거룩한 율법(레위 17; 21; 22; 23; 24; 25; 26; 27장)

하느님께서 성경을 통해 하시는 말씀이다.거룩해지도록 하라.거룩하게 해 주시는 하느님을 항상 기억하고 찬미드려라.거룩한 예식을 행하라.하느님 말씀에 순종하면 상과 보상이 따를 것이다.레위기는 하느님 말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실행 방법을 제시한다.  I. 거룩해지도록 하라 1. 제물과 피의 신성함 Sacredness of Blood(레위 17,1-16)더보기3누구든지 이스라엘 집안에 속한 사람으로서, 소나 어린양이나 염소를 진영 안에서 잡았든 진영 밖에서 잡았든,(레위 17,3) 4그것을 만남의 천막 어귀로 가져와 주님의 성막 앞에서 주님에게 예물로 바치지 않는 자는 그 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그 사람은 피를 흘렸으니, 자기 백성에게서 잘려 나가야 한다.(레위 17,4) 5이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

오경/레위기 2022.03.01

요한 복음의 예수님 여정 분류표

요한 복음서는공관 복음서에 있는 여러 내용이 누락되어 있다.요한 복음서에는탄생 성장,갈릴래아(2),비유다에 대한 전도 내용이 들어있지 않지만공관 복음과는 달리 유다 초기에 대한 내용이 있다.특히 공생활 마지막 해의 전도 활동에서초막절과 성전 봉헌 축제 등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