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07

시편 14장. 어리석은 자 마음속으로

어리석은 자 마음속으로 다윗 시편. 시편 14장은 (시편 53편에서 반복됨) 세상이 두 부류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묘사하는데, 그들은 “어리석은 자”(악인과 같음, 시편 14,1-3)와 “의인의 무리”(시편 14,4~6, “내 백성”, “가련한 이”라고도 함)이다. 악인은 의인을 핍박하지만, 시편은 하느님께서 악인을 벌하시고 착한 이에게 상을 주실 것이라는 희망을 드러낸다. 시편 14장 더보기 1 [지휘자에게. 다윗] I 어리석은 자 마음속으로 ‘하느님은 없다.’ 말하네. 모두 타락하여 악행을 일삼고 착한 일 하는 이가 없구나. [14,1] 시편 10,4; 36,2; 이사 32,6; 예레 5,12. 2주님께서는 하늘에서 사람들을 굽어살피신다,[14,2–3] 로마 3,11–12. 그 누가 깨달음 있어..

시서/시편집 2022.08.04

시편 13장. 언제까지 마냥 저를 잊고 계시렵니까

언제까지 마냥 저를 잊고 계시렵니까 다윗 시편. 시편 저자가 하느님께 잊혀졌다고 느끼는 전형적인 비가(시편 13,2-3)이다. “언제까지”라는 말의 반복에 주목한다. 적에 대한 언급은 일부 사람들이 시편 저자에게 악행이 가해지기를 바랐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시편 저자의 진심 어린 기도(시편 13,4-5)는 기도를 더욱 강력하게 하기 위해 신뢰의 말(시편 13,6ㄱ)과 구원이 왔을 때 하느님께 감사드리겠다는 서원(시편 13,6ㄴ)으로 이어진다. 시편 13장 더보기 1 [지휘자에게. 시편. 다윗] I 2주님, 언제까지 마냥 저를 잊고 계시렵니까? 언제까지 당신 얼굴을 제게서 감추시렵니까? [13,2] 시편 6,4; 44,25; 77,8; 79,5; 89,47; 94,3; 애가 5,20. 3언제까지 고통을 ..

시서/시편집 2022.08.02

발효 미생물과 벗하는 되새김질 동물

발효 미생물과 벗하는 되새김질 동물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에 대한 내용이 레위기에 나온다. 이러한 동물들이 사는 생태계는 먹이사슬에 의해 유지되고 보존된다. 먹이사슬이란 풀은 초식 동물에게, 초식 동물은 육식 동물에게, 동물 사체는 청소 동물에게 먹히고, 모든 동식물의 유체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말한다. 마지막 단계인 미생물에 의한 작용은 다른 생물과는 달리 전방위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먹이사슬 단계에서는 거론되고 있지 않지만 무엇보다 관심을 가져야할 단계이다. 먹이사슬 과정에서 생물들은 다른 생물과 영향을 주고받는데, 특히 다양한 식자재를 사용할 수 있는 인간들은 더욱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미생물과 관련하여 레위기에 나오는 내용은 주로 유해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다. 따라서 레..

성경과 미생물 2022.08.02

제주의 폭풍 소리

제주의 폭풍 소리이다. 아침이다. 들이치는 비바람에 창문을 열 수 없어 유리너머로 바라본다. 폭풍이 잦아들자 비자림에 갔다. 그러나 아직도 비는 주룩주룩 내린다. 이런 날인데도 많은 사람들이 보인다. 빗속을 걷고 싶었는지, 일정상 그리하였는지는 모른다. 나는 젊은 시절의 쏟아지는 비에 흠뻑 젖었던 회색빛 기억을 생각하면서 왔다. 빗속의 하루 일정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왔다. 이때는 저녁 늦은 시간이다. 숙소 창문 너머의 폭풍에 흠뻑 젖은 종려나무들이지만 꿋꿋이 서 있는 그들의 모습에서 괴로움을 참은 인고의 시간을 버텼다는 기개가 느껴진다. 종려나무 뒤편 해안가에는 아직도 파도가 하얀 포말을 뿜으며 일렁인다. 좀더 먼 해변의 모습이다. 바다와는 달리, 앞 마당 정원은 야간 조명으로 나뭇잎이 연두색의 영롱한 ..

시편 12장. 구원을 베푸소서

구원을 베푸소서 다윗 시편. 거짓말쟁이와 폭력적인 사람들이 의인을 핍박하는 세상에 내던져진 시편 저자(시편 12,2-3)는 악인들이 벌을 받게 되기를 기도한다(시편 12,4-5). 그 기도는 단순히 복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정의가 이 땅에 드러나는 것을 보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다. 시편 12,6은 탄식하는 자에게 구원될 것이라고 보증하는 사제의 말을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편들에서는 전하지 않는 말이다. 시편 12,7-8에서, 시편 저자는 보호될 것이라는 보증의 말을 하면서 살려는 의지를 단언한다. 시편 12장 더보기 1 [지휘자에게. 제8도로. 시편. 다윗] I 2주님, 구원을 베푸소서. 충실한 이는 없어지고 진실한 이들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라져 버렸습니다. [12,2] 시편 14..

시서/시편집 2022.08.01

온 이스라엘이 사무엘의 죽음을 애도하다(1사무 25,1-44)

사무엘이 죽는다.그의 사망 연도는 BC 1014년으로 추정된다.사무엘이 죽자 다윗은 파란 광야로 간다.파란 광야는 모세가 이집트 탈출한 후38년 동안 머물렀던 카데스가 있는 곳이다. 사무엘기에서 사무엘의 죽음은 짧게 언급 되어 있다.다윗이 파란 광야에 간 시기 및 체류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모세의 행적을 보았을 때다윗이 파란 광야로 간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관련 본문 연대표더보기1. 사무엘이 죽다.2. 나발이 다윗의 양식 요청을 거부하자, 다윗이 그를 죽이러 올라가다.3. 다윗이 아비가일을 만나다. 4. 나발이 죽자 다윗이 아비가일을 아내로 맞이하다. 5. 다윗의 아내들.   1. 사무엘이 죽다 다윗이 파란 광야로 내려가다.더보기1사무엘이 죽었다. 그러자 온 이스라엘이 모여들어 그의 죽음을..

시편 11장. 주님께 나 피신하는데

주님께 나 피신하는데 다윗 시편. 신뢰의 노래이다. 친구들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산악 지방(전통적인 은신처)으로 도피하라고 조언하지만(시편 11,1-3), 순진한 시편 저자는, 하느님께서는 성전에서 피난처를 찾는 사람들을 보호하신다는 하느님에 대한 확신을 재확인 한다(시편 11,4-7). 시편 11(10)장 더보기 1 [지휘자에게. 다윗] I 주님께 나 피신하는데 너희는 어찌 나에게 말하느냐? “새처럼 산으로 도망쳐라. [11,1] 시편 55,7; 91,4. 2보라, 악인들이 활을 당기고 화살을 시위에 메겨 마음 바른 이들을 어둠 속에서 쏘려 한다. [11,2] 시편 7,13; 37,14; 57,5; 64,4. 3바탕까지 허물어지는데 의인인들 무엇을 할 수 있으랴?” II 4주님께서는 당신의 거룩한 궁전..

시서/시편집 2022.07.31

시편 10장. 제 마음 다하여 찬송하며

제 마음 다하여 찬송하며 다윗 시편. 히브리어 본문의 시편 9장과 시편 10장은 별개의 시로 전해져 온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행의 첫 글자를 아래로 연결하면 특정한 어구가 되게 작성한 시나 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이합체(아크로스틱 acrostic) 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그리스와 라틴 전통에 전승되고 있다. 두 시편의 각 절은, 일부 알파벳 문자와 관련된 연이 없는 것이 있지만, 히브리어 알파벳의 순서대로 시작한다. 시편은 힘없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원수들로부터의 구원, 하느님의 세상 심판과 민족들에 대한 통치, 구원에 대한 시편 저자 자신의 관심사(시편 9,14-15)를 주제로하여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보기 1 [지휘자에게. 알뭇 라뻰. 시편. 다윗] I 2 [알렙] 주님, 제 ..

시서/시편집 2022.07.30

구약 시대의 미생물 이해

구약 시대의 미생물 이해 생태계에는 동물, 식물, 어류, 파충류, 곤충류 등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다. 사람은 이것들로부터 음식을 선택한다. 식품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인체에 해로움이 없어야 한다. 해로움에는 독성 물질과 유해균에 의한 병 발생 등이 있다. 인류는 경험 및 관습적으로 무해한 것을 식품으로 활용해 왔다. 그 과정에서 식품재료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식품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먹는 방법도 자연적 혹은 인공적으로 개발해 왔다. ▶유의 사항 더보기 이번 "성경과 미생물" 카테고리에 게재되는 내용들은 레위기에 실렸던 자료를 접근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수정 및 보완하여 다시 게제한 것이다. '미생물 스토리텔링’ 카테고리의 내용을 먼저 숙지하길 권한다. 1. 식품에 대한 ..

성경과 미생물 2022.07.30

시편 9장. 제 마음 다하여 찬송하며

제 마음 다하여 찬송하며 다윗 시편. 히브리어 본문의 시편 9장과 시편 10장은 별개의 시로 전해져 온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행의 첫 글자를 아래로 연결하면 특정한 어구가 되게 작성한 시나 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이합체(아크로스틱 acrostic) 시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그리스와 라틴 전통에 전승되고 있다. 두 시편의 각 절은, 일부 알파벳 문자와 관련된 연이 없는 것이 있지만, 히브리어 알파벳의 순서대로 시작한다. 시편은 힘없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그들의 원수들로부터의 구원, 하느님의 세상 심판과 민족들에 대한 통치, 구원에 대한 시편 저자 자신의 관심사(시편 9,14-15)를 주제로하여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편 9장 더보기 1 [지휘자에게. 알뭇 라뻰. 시편. 다윗] I 2[알렙] 주..

시서/시편집 2022.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