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23

십계명, 정의와 평화를 위한 하느님의 거룩한 말씀(탈출 20장)

머리말모세는 나이 마흔 살(사도 7,23)까지이집트 왕자로 살았다. 그 후 여든 살(탈출 7,7)에 이르도록시나이 산기슭에서 양을 치는 목자로 삶을 꾸렸는데, 그때 모세가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이집트를 나와광야에서 40년을 살다가나이 백스무 살(신명 34,7)에 느보 산에서 하느님 곁으로 갔으니 모세의 삶은 삼분의 일(1/3)로 구분된세 번의 극적인 삶을 살다 간 사람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돌이켜 보면사회 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으로서의 삶도모세처럼 세 단계의 삶의 여정을 거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생의 삼분의 일은배우는 기간,또 다른 삼분의 일은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사회 생활을 하는 기간,그리고 나머지 삼분의 일은그간의 삶을 뒤돌아보며 정리하는 기간으로서 이다. ..

오경/탈출기 2025.07.31

시나이 산에 도착하다(탈출 19장)

모세가 시나이 광야에 도착한 후시나이 산에 첫 번째로 오르자, "너희는 나에게 사제들의 나라 a kingdom of priests가 되고거룩한 민족 a holy nation이 될 것이다.”(탈출 19,6ㄷ)라고 하느님께서 당신의 거룩한 계획을 최초로 말씀하신다. 모세가 하느님의 말씀을 따르겠다는 백성들의 뜻을 전해드리려고두 번째로 다시 시나이 산에 오르자,하느님께서는 모세에게 셋째 날에 계약을 맺으려 하니백성들을 준비시키라고 말씀하신다. 마침내"셋째 날 아침, 우렛소리와 함께 번개가 치고짙은 구름이 산을 덮은 가운데뿔 나팔 소리가 크게 울려 퍼지자,진영에 있던 백성이 모두 떨었다."(탈출 19,16) "주님께서는 시나이 산 위로,그 산봉우리로 내려오셨다.그런 다음 주님께서 모세를 그 산봉우리로 부..

오경/탈출기 2025.07.30

◀ 욥기 아키텍처, 내 뜻을 어둡게 하는 자는 누구냐?

프롤로그욥기에서,사람들 간의 부질없는 대화를 들으신 하느님께서당신의 천지창조를 들이대시면서 인간의 하챦음을 질타하신다. 참고로 게시물 제목의 아키텍처는architecture라는 영문으로 구조, 구성, 얼개 혹은 건축물을 뜻한다. 저술 연대가기원전 7- 5세기로 추정되는 욥기는,기원후 14-16세기의르네상스라 불리는 문예부흥을 시작으로18세기 중반과 19세기 초반의 산업혁명을 거쳐 현대에 이르는, 각종 인문 사상과 과학 문명에 대해그 부질없고 쓰잘머리 없음을 이미 이천오백여 년전부터묵시적으로 일갈하고 있다. 어찌보면 욥기는, 욥을 통해서는인간 개개인의 삶의 여정을,욥의 친구들을 통해서는사회현상에 대해,그리고 주님의 말씀을 통해서는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자연의 섭리를담담하고 직설적이면서도 확정적으로..

지혜서/욥기 2025.07.25

악을 미워한 대사제, 오니아스(2마카 3)

머리말마카베오기는유다의 바빌론 유배가 끝나고(BC 536년경)약 370여 년이 지난 후의 역사적 사실이다. 이 기간은 바빌론 유배의 새 계약의 시대이므로그 어느 때보다 하느님에 대한 간절함이 높은 시기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마카베오기 이전의 역사를 담은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를 먼저 묵상하는 것도 필요하다. 에즈라기 개요에즈라기히브리어 정경의 마지막 네 권은 순서대로 하여에즈라기, 느헤미야기, 역대기 상권, 그리고 역대기 하권이다. 그러나 한때 에즈라와 느헤미야는역대기 상하권 뒤에 왔으며일반적으로 "suhbundo.tistory.com 느헤미야기의 개요 및 연대별 본문 순서느헤미야기에즈라-느헤미야기의 결합된 책에서 공통적인 문제점은에즈라기 서론에서 지적되었다.두 사람의 업적은 상호 보완적이었다.각자는 회..

시나이 광야에 도착하다(탈출 18장 - 19장 2절)

탈출기 18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4. 르피딤에 진을친다.① 호렙의 바위를 쳐 물이 나오게 하고 그곳을 마싸와 므리바라 하다.(탈출 17,6.7) ② 아말렉족과 전쟁이 일어나다.(탈출 17,13.16) ③ 이트로가 모세를 찾아와 하느님께 제물을 바치다. (탈출 18,2-4.12) 2그래서 모세의 장인 이트로는친정에 돌아와 있던 모세의 아내 치포라와, 3치포라의 두 아들을 데리고 나섰다.한 아이의 이름은 게르솜인데,이는 모세가“낯선 땅..

오경/탈출기 2025.07.19

르피딤: 아말렉족과 싸워 이기다(탈출 17장)

탈출기 17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4. 르피딤에 진을친다.1이스라엘 자손들의 온 공동체는 주님의 분부대로신 광야를 떠나 차츰차츰 자리를 옮겨 갔다.그들은 르피딤에 진을 쳤는데,백성이 마실 물이 없었다. (탈출 17, 1)14알루스를 떠나서는 르피딤에 진을 쳤는데,그곳에는 백성이 마실 물이 없었다.(민수 33,14) ① 호렙의 바위를 쳐 물이 나오게 하고 그곳을 마싸와 므리바라 하다.6이제 내가 저기 호렙의 바위 위에서 네 앞에 서 있겠..

오경/탈출기 2025.07.18

신 광야, 돕카, 알루스: 만나와 메추라기(탈출 16장)

탈출기 16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1. 신 광야에 도착한다. 탈출 1년 둘째 달 15일 1이스라엘 자손들의 온 공동체는 엘림을 떠나,엘림과 시나이 사이에 있는 신 광야에 이르렀다.그들이 이집트 땅에서 나온 뒤,둘째 달 보름이 되는 날이었다.(탈출 16,1)※ 이집트를 떠난 지 한 달이 되었다. 이스라엘이 또 불평한다. 바다 건너기 전에는 몰살당하겠다고,건넌 후에는 물이 쓰다고,이제 와서는 배가 고프다고 불평한다. 부탁드리지 않고서...

오경/탈출기 2025.07.17

수르, 마라, 엘림: 모세의 노래(탈출 15장)

탈출기 15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 바다를 건너고 모세와 미르얌이 노래를 부른다. ▷모세의 노래(탈출 15,1-18)※ 모세의 노래에는 바다를 건넌 이후의 상황이 언급된다.모세의 노래가 추후에 이곳에 삽입되었음을 의미한다. [탈출 15,1–21 주석] 이 시는 본래 독립적인 작품이다. 시의 후반부(13-18)는 약속된 땅으로의 하느님의 인도를 묘사한다.미르얌의 후렴은 각각의 절 뒤에서 되풀이하여 부르는교창 시가였을 것이다.(RNA..

오경/탈출기 2025.07.17

홍해: 바다를 건너다(탈출 14장)

탈출기 14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5. 피 하이롯과 믹돌 앞의 바닷가에 진을 치다.2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되돌아가서 믹돌과 바알 츠폰 앞 바다 사이에 있는 피 하히롯 앞에 진을 치라고 일러라.너희는 바알 츠폰을 마주하고 바닷가에 진을 쳐야 한다. 3그러면 파라오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광야에 갇혀아직도 이 땅에서 헤매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탈출 14, 2-3) ▷ "헤맨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표현은,에탐에서 돌아 나온 것이 파라오를..

오경/탈출기 2025.07.17

라메세스, 수콧, 에탐: 이집트를 떠나다(탈출 13장)

탈출기 13장의 주요 내용1. 이스라엘이 이집트 라메세스를 떠난다. 탈출 1년 첫째 달 15일3ㄱ그들은 첫째 달,곧 첫째 달 열닷샛날에 라메세스를 떠났다.(민수 33,3ㄱ) 13ㄴ 너의 후손은 남의 나라에서 나그네살이하며사백 년 동안 그들의 종살이를 하고 학대를 받을 것이다(창세 15,13ㄴ). ▷파라오가 밤중에 모세와 아론을 불러 떠나라 한다(탈출 12,31). - 정신을 놓을 정도의 시급한 상황 묘사이다. ▷걸어서 행진하는 장정만도 육십만가량인(탈출 12,37) 백성의 탈출이다.▷사백삼십(430) 년이 끝나는 바로 그날 이집트 땅에서 나온다(탈출 12,41). - 바로 그날은 파스카 축제날, 즉 첫째 달인 아빕(니산) 달 열닷샛날이다(탈출 13,4).※ 첫째(1) 달은 그레고리력의 ..

오경/탈출기 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