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께서는 예레미야를 통해
"너희가 바빌론에서 일흔 해를 다 채우면 내가 너희를 찾아,
너희를 이곳에 다시 데려오리라는 은혜로운 나의 약속을
너희에게 이루어 주겠다."(에레 29,10)라는 말씀을 내리신다.
이 말씀은
예레미야가 첫 번째 유배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들어 있다.
예레미야는 편지를 통해
"그곳에 정착하여라."
"고국에 남아 있는 유다인들도 벌을 받으리라."
"거짓 예언자들을 조심하여라."라고 하면서
거짓 예언자인 스마야 Shemaiah에 대해
"그의 후손 가운데에는
이 백성과 어울려 살 자가 아무도 없고,
내 백성을 위해 내가 베푸는 복을
누릴 자도 없을 것이다."예레 29,32)라고 하신
하느님의 노여움이 가득찬 말씀을 전한다.
북 왕국 이스라엘은 물론
남 왕국 유다가 멸망하게 된 원인이 무엇이겠는가?
거짓 예언자인 스마야와 같은 자와
그를 추종하는 배반자들 때문임은 명확하다(예레 3,6-10).
이렇게 거짓 예언자 스마야를 닮아
하느님 말씀에 목을 뻣뻣이 세우고(탈출 32,9)
예수님을 참칭하여 유사 종파를 만드는
현 시대의 거짓 목회자들에게는
하느님의 지엄한 불화살이 내리 꽂힐 것이다(이사 50,11).
그러하기에 하느님께서,
이민족 페르시아 제국의 임금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의 입을 통해
"하늘의 하느님께서 내리신 법 the law of the God of heaven의
학자인 에즈라 사제"라고 고백하게 하신,
에즈라를 보내시어(에즈 7,10)
당신의 참된 말씀이 기록된 율법서를 번역하여(느헤 8,8)
선포하게 하신 것이다.
구약 성경 번역본 변천 도표
구약 성경의 시대적 변천은 모세 시나이 본문(BC 1446), 사무엘의 나욧 본문(BC 1050), 에즈라의 14인역(BC 458-445), 그리스 70인역(BC 282)으로 이어진다. 이 자료는 bible.ca의 자료를 인용한 바 자세한 내용
suhbundo.tistory.com
▶ 에즈라와 느헤미야의 연대별 주요 행적
I. THE RETURN FROM EXILE
유배로부터의 귀환 (RNAB)
바빌론 유배가 끝나다
The Decree of Cyrus
The Decree of Cyrus. 키루스의 칙령(RNAB)
1 1페르시아 Persia 임금 키루스 Cyrus 제일년이었다.[▶ BC 538 RNAB]
[☞ 다니엘서의 메디아사람 다리우스 (Cyaxares Ⅱ)와의 공동 섭정 기간을 BC 539-537년으로 한 경우에는 BC 536년. 다니 6,1].
주님께서는 예레미야 Jeremiah의 입을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고,
페르시아임금 키루스의 마음을 움직이셨다.
그리하여 키루스는 온 나라에 어명을 내리고
칙서도 반포하였다. [1,1] 에즈 6,3–5; 2역대 36,22–23; 예레 25,11–12; 29,10; 즈카 1,12.
▶2023.06.25 - [예레미야서(본문순)] - 거짓 예언자들과 점쟁이들을 내버려 두지 말라(예레 29장)
거짓 예언자들과 점쟁이들을 내버려 두지 말라(예레 29장)
예레미야서 29장은"첫 번째 유배자들에게 보낸 편지"에 관련하여'그곳에 정착하여라'고국에 남아 있는 유다인들도 벌을 받으리라'거짓 예언자들을 조심하여라''스마야의 편지'에 대해 이야기 한
suhbundo.tistory.com
[1,1 주석] 키루스 제일년 ☞ BC 538년
[1,1] 키루스 제일년:
키루스의 최초 통치 년도는 BC 539년이었지만,
그가 그 도시를 정복한 후 바빌론의 통치자로서의 첫 해는 BC 538년이었다.
바로 그 해에 그는 유명한 키루스 원통에 기록된 칙령을 발표하여
바빌로니아인들이 추방한 사람들의 귀환을 허가했다.
[1,1 관련 본문]
[1,1] 에즈 6,3–5; 2역대 36,22–23; 예레 25,11–12; 29,10; 즈카 1,12.
키루스의 칙령이 발견되다(에즈 6,1-5)
3 키루스 임금 제일년에,
키루스 임금께서 예루살렘에 있는 하느님의 집에 관하여 칙령을 내리시다.
희생 제물을 바치던 바로 그곳에 기초를 높이 세우고 집을 다시 짓되,
높이도 예순 암마, 너비도 예순 암마로 하여라.
4 다듬은 돌은 세 겹으로,
나무는 한 겹으로 쌓아라. 비용은 왕실에서 내어 주어라.
5 그뿐만 아니라,
네부카드네자르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꺼내어 바빌론으로 가져온
하느님 집의 금은 기물들을 되돌려 주어
예루살렘 성전으로 옮기고,
하느님의 집 안 제자리에 두게 하여라.”(에즈 6,3-5)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의 칙령(2역대 36,22-23)
22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 제일년이었다.
주님께서는 예레미야의 입을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고,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의 마음을 움직이셨다.
그리하여 키루스는 온 나라에 어명을 내리고 칙서도 반포하였다.
23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는 이렇게 선포한다.
주 하늘의 하느님께서 세상의 모든 나라를 나에게 주셨다.
그리고 유다의 예루살렘에 당신을 위한 집을 지을 임무를 나에게 맡기셨다.
나는 너희 가운데 그분 백성에 속한 이들에게는 누구나
주 그들의 하느님께서 함께 계시기를 빈다.
그들을 올라가게 하여라.”(2역대 36,22-23)
유배 이전에 한 예레미야의 예언 요약(예레 25,1-38)
11 이 땅은 온통 황무지와 폐허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땅의 민족들은 일흔 해 동안 바빌론 임금을 섬길 것이다.
12 그러나 그 일흔 해가 끝난 뒤에는
내가 바빌론 임금과 저 민족도 그들의 잘못을 물어
칼데아인들의 땅과 함께 벌하고,
그들을 영원한 폐허로 만들겠다. 주님의 말씀이다.(예레 21,11-12)
첫 번째 유배자들에게 보낸 편지(예레 29,1-32)
10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너희가 바빌론에서 일흔 해를 다 채우면 내가 너희를 찾아,
너희를 이곳에 다시 데려오리라는 은혜로운 나의 약속을
너희에게 이루어 주겠다.(예레 29,10)
첫 번째 환시: 말 탄 기사(즈카 1,7-13)
12 그러자 주님의 천사가 아뢰었다.
“만군의 주님,
당신께서는 예루살렘과 유다의 성읍들을 가엾이 여기지 않으시고
언제까지 내버려 두시렵니까?
그들에게 진노하신 지 일흔 해나 되었습니다.”(즈카 1,12)
▶키루스 실린더
키루스 실린더(Cyrus Cylinder, 원통)
키루스 실린더는 고대 점토 실린더로,
지금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었고,
아카드 설형 문자로 페르시아 왕 키루스 대왕의 이름으로 아케메네스 왕조의 비문이 쓰여 있다.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1879년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 바빌로니아(현재 이라크)의 폐허에서 발견되었다.
현재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BC 539년의 페르시아의 바빌론 정복에 따른
정초매장물 foundation deposit 로 만들어져 사용되었는데,
BC 539년은 신바빌론 제국이 키루스에 의해 침략당하여
키루스의 페르시아 제국에 합병된 해이다.
키루스 실린더는 구운 점토로 만든 통 모양의 실린더로,
최대 지름은 22.5cm(8.9인치) x 10cm(3.9인치)이다.
큰 회색 돌이 들어 있는 점토로 된 원뿔 모양의 중심부 주위를 감싸며 여러 단계로 만들어졌다.
원통형 모양을 내기 위해 점토를 추가로 겹겹이 쌓아올린 다음,
바깥쪽 층에 미세한 점토 표면을 더해 글자를 새겼다.
고대에 쪼개진 것으로 보이는 여러 조각으로 발굴되었다.
실린더는 분명히 기원전 539년 키루스 대왕이 바빌로니아를 정복한 이후의 시기이지만,
제작 날짜는 불분명하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539년 이후인 키루스의 바빌로니아 통치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영국 박물관은 실린더의 제작 날짜를
기원전 539년에서 530년 사이로 추정한다. <인용: 위키피디아>
2“페르시아 임금 키루스는 이렇게 선포한다.
주 하늘의 하느님께서 세상의 모든 나라를 나에게 주셨다.
그리고 유다의 예루살렘에 당신을 위한 집을 지을 임무를 나에게 맡기셨다.
[1,2 주석] 하늘의 하느님(the God of heaven)
[1,2] 하늘의 하느님:
이 칭호는 7,12.21.23에서 사용되었으며
조로아스터교의 최고 신인 아후라 마즈다 Ahura Mazda의 칭호에 해당한다.
하지만 키루스가 조로아스터교도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12 “임금들의 임금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가
하늘의 하느님께서 내리신 법의 학자인 에즈라 사제에게. 평화!
이제,(에즈 7,12)
21 이제 나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이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의 모든 재무관에게 명령을 내린다.
하늘의 하느님께서 내리신 법의 학자인 에즈라 사제가
그대들에게 요청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어김없이 해 주어라.
23 하늘의 하느님께서 명령하시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늘의 하느님 집을 위해 빈틈없이 수행하여,
임금의 왕국과 왕자들에게 진노가 내리는 일이 없게 하여라.(에즈 7,12,12.21.23)
3나는 너희 가운데 그분 백성에 속한 이들에게는
누구나 그들의 하느님께서 함께 계시기를 빈다.
이제 그들이 유다의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 집을 짓게 하여라.
그분은 예루살렘에 계시는 하느님이시다.
4이 백성의 남은 자들이 머무르고 있는 모든 지방의 사람들은,
예루살렘에 계시는 하느님의 집을 위한
자원 예물 free-will offerings 과 함께,
은과 금과 물품과 짐승으로 그들 모두를 후원하여라.”
5그리하여 유다 Judah와 벤야민 Benjamin의
각 가문의 우두머리들과
사제들과 레위인들 Levites,
곧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그곳에 계신 주님의 집을 짓도록
하느님께서 마음을 움직여 주신 이들이 모두 떠날 채비를 하였다.
[1,5 주석] 가문의 우두머리들
[1,5] 가문의 우두머리들:
가문의 우두러미들은
공통 조상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확장된 친족 집단으로 구성된
유배 이후 공동체의 기본 조직 단위였다.
이 단위의 족장들은 시민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6그러자 이웃 사람들은 저마다 온갖 자원 예물 외에도,
은 기물과 금과 물품과 짐승,
그리고 값진 선물로 그들을 도와주었다. [1,6] 탈출 3,21–22; 11,2; 12,35.
[1,6 관련 본문]
[1,6] 탈출 3,21–22; 11,2; 12,35.
모세의 소명에 관한 지침(탈출 3,16-22)
21 나는 또 이 백성이 이집트인들에게 호감을 사도록 하여,
너희가 떠날 때 빈손으로 떠나지 않게 하겠다.
22 여인들은 저마다 이웃 여자와 자기 집에 함께 사는 여자에게
은붙이와 금붙이와 옷가지를 요구할 것이고,
너희는 그것들을 너희 아들딸들에게 지울 것이다.
이렇게 너희는 이집트를 털 것이다.”(탈출 3,21-22)
열째 재앙의 예고(탈출 11,1-10)
2 백성에게 일러,
남자는 이웃 남자에게,
여자는 이웃 여자에게 은붙이와 금붙이를 요구하게 하여라.(탈출 11,2)
열째 재앙: 이집트 맏아들과 맏배의 죽음(탈출 12,29-36)
36 이스라엘 자손들은 모세가 일러 준 대로,
이집트인들에게 은붙이와 금붙이와 옷가지를 요구하였다.(탈출 12,35)
7키루스 임금은
네부카드네자르가 예루살렘에서 가져다가
자기 신전에 두었던
주님의 집 기물들을 꺼내 오게 하였다. [1,7] 2열왕 25,14–15.
[1,7 관련 본문]
[1,7] 2열왕 25,14–15.
성전이 파괴되다(2열왕 25,8-21)
14 그들은 냄비와 부삽,
불똥 가위와 접시,
그 밖에 예배 때 쓰는 모든 청동 기물도 가져갔다.
15 친위대장은 향로와 쟁반들도 가져갔는데,
금으로 만든 것은 금이라고 가져가고,
은으로 만든 것은 은이라고 가져갔다.(2열왕 25,14-15)
8페르시아 임금 키루스는
재무상 treasurer 미트르닷 Mithredath을 시켜
그것들을 꺼내 오게 한 다음,
낱낱이 세어 유다 제후 prince of Judah
세스바차르 Sheshbazzar에게 넘겨주도록 하였다.
[1,8 주석] 유다 제후 세스바차르
[1,8] 유다 제후 세스바차르: 종종 BC 598년에 유배된
유다 임금 여호야킨의 넷째 아들
센아차르 Shenassar와 동일시됨(1역대 3,17-18 참조)
그러므로 즈루빠벨의 삼촌이다(에즈 3,2-4).
이러한 신분 증명은 불확실하다.
17 사로잡혀 간 여콘야의 아들은 스알티엘,
18말키람, 프다야, 센아차르 Shenazzar , 여카므야, 호사마, 느다브야이다.(1역대 3,17-18)
2 여호차닥의 아들 예수아가
일가 사제들과 스알티엘의 아들 즈루빠벨과 그의 형제들과 함께 나서서,
하느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쓰인 대로 이스라엘의 하느님께 번제물을 올릴 제단을 쌓았다.
3 그들은 그 땅의 백성들을 무서워하였기 때문에,
옛 자리에 제단을 쌓고 거기에서 주님께 번제물을,
곧 아침저녁으로 번제물을 올렸다.
4 또 그들은 율법에 쓰인 대로 초막절을 지내면서,
그날그날 정해진 횟수대로 날마다 번제물을 바쳤다.(에즈 3,2-4)
9그 품목은 이러하다.
금 접시가 서른 개,
은 접시가 천 개,
칼이 스물아홉 자루,
10금 대접이 서른 개,
이급 은 대접이 사백열 개,
그 밖에 다른 기물이 천 개였다.
11그리하여 금 기물과 은 기물은 모두 오천사백 개였다.
세스바차르 Sheshbazzar [유다 1대 총독 ☞ 에즈 5,14, 지방관 governor]는
유배자들을 바빌론 Babylon에서
예루살렘 Jerusalem으로 데리고 올라오면서,
이 기물들을 모두 가지고 왔다.
[1,11 주석] 오천사백
[1,11] 오천사백:
이 수치나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제공된 수치가 본문 전달 중에 손상되었다.
◀이전 파일
새 계약의 '물질적 이행'- 에즈라, 느헤미야
프롤로그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는예레미야의 예언을 순차적으로 증거하는 역사서이다. BC 629년, 예언자로서의 소명(예레 연대-1)예언자로서의 소명예레미야가 어린 나이에 하느님의 부르심을
suhbundo.tistory.com
▶이후 파일
에즈 2: 돌아온 유배자들(BC 538)
시나이 산의 계약에도(탈출 24,7-8) 불구하고 사사건건 투덜거리며 하느님께 대들다가약속의 땅 바로 앞에서 광야로 쫓겨났던(민수 14,34) 민족,그들이 돌아왔다. 하느님의 무한하신 자비로 세운
suhbundo.tistory.com
'역사서 > 에즈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즈 5: 세스바차르가 하느님의 집의 기초를 놓다(BC 520) (0) | 2025.04.28 |
---|---|
에즈 4: 성전 건축이 방해를 받다(BC 520) (0) | 2025.04.25 |
에즈 3: 제단을 쌓고 성전 기초를 놓다(BC 538/7) (0) | 2025.04.20 |
에즈 2: 돌아온 유배자들(BC 538) (0) | 2025.04.19 |
에즈라기 개요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