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탈출기 28

시나이 광야에 도착하다(탈출 18장 - 19장 2절)

탈출기 18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4. 르피딤에 진을친다.① 호렙의 바위를 쳐 물이 나오게 하고 그곳을 마싸와 므리바라 하다.(탈출 17,6.7) ② 아말렉족과 전쟁이 일어나다.(탈출 17,13.16) ③ 이트로가 모세를 찾아와 하느님께 제물을 바치다. (탈출 18,2-4.12) 2그래서 모세의 장인 이트로는친정에 돌아와 있던 모세의 아내 치포라와, 3치포라의 두 아들을 데리고 나섰다.한 아이의 이름은 게르솜인데,이는 모세가“낯선 땅..

오경/탈출기 2025.07.19

르피딤: 아말렉족과 싸워 이기다(탈출 17장)

탈출기 17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4. 르피딤에 진을친다.1이스라엘 자손들의 온 공동체는 주님의 분부대로신 광야를 떠나 차츰차츰 자리를 옮겨 갔다.그들은 르피딤에 진을 쳤는데,백성이 마실 물이 없었다. (탈출 17, 1)14알루스를 떠나서는 르피딤에 진을 쳤는데,그곳에는 백성이 마실 물이 없었다.(민수 33,14) ① 호렙의 바위를 쳐 물이 나오게 하고 그곳을 마싸와 므리바라 하다.6이제 내가 저기 호렙의 바위 위에서 네 앞에 서 있겠..

오경/탈출기 2025.07.18

신 광야, 돕카, 알루스: 만나와 메추라기(탈출 16장)

탈출기 16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1. 신 광야에 도착한다. 탈출 1년 둘째 달 15일 1이스라엘 자손들의 온 공동체는 엘림을 떠나,엘림과 시나이 사이에 있는 신 광야에 이르렀다.그들이 이집트 땅에서 나온 뒤,둘째 달 보름이 되는 날이었다.(탈출 16,1)※ 이집트를 떠난 지 한 달이 되었다. 이스라엘이 또 불평한다. 바다 건너기 전에는 몰살당하겠다고,건넌 후에는 물이 쓰다고,이제 와서는 배가 고프다고 불평한다. 부탁드리지 않고서...

오경/탈출기 2025.07.17

수르, 마라, 엘림: 모세의 노래(탈출 15장)

탈출기 15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 바다를 건너고 모세와 미르얌이 노래를 부른다. ▷모세의 노래(탈출 15,1-18)※ 모세의 노래에는 바다를 건넌 이후의 상황이 언급된다.모세의 노래가 추후에 이곳에 삽입되었음을 의미한다. [탈출 15,1–21 주석] 이 시는 본래 독립적인 작품이다. 시의 후반부(13-18)는 약속된 땅으로의 하느님의 인도를 묘사한다.미르얌의 후렴은 각각의 절 뒤에서 되풀이하여 부르는교창 시가였을 것이다.(RNA..

오경/탈출기 2025.07.17

홍해: 바다를 건너다(탈출 14장)

탈출기 14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5. 피 하이롯과 믹돌 앞의 바닷가에 진을 치다.2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되돌아가서 믹돌과 바알 츠폰 앞 바다 사이에 있는 피 하히롯 앞에 진을 치라고 일러라.너희는 바알 츠폰을 마주하고 바닷가에 진을 쳐야 한다. 3그러면 파라오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광야에 갇혀아직도 이 땅에서 헤매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탈출 14, 2-3) ▷ "헤맨다고 생각할 것"이라는 표현은,에탐에서 돌아 나온 것이 파라오를..

오경/탈출기 2025.07.17

라메세스, 수콧, 에탐: 이집트를 떠나다(탈출 13장)

탈출기 13장 개요 시나이 광야 도착, 관련 본문의 개요(탈출 13장 - 19장 2절)모세의 이집트 탈출 여정은이집트 고센 땅 라메세스부터요르단 강 건너에 있는 느보 산까지의 경로이다. 느보 산에 올라서면약속의 땅 가나안이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이스라엘 백성이suhbundo.tistory.com 1. 이스라엘이 이집트 라메세스를 떠난다. 탈출 1년 첫째 달 15일3ㄱ그들은 첫째 달,곧 첫째 달 열닷샛날에 라메세스를 떠났다.(민수 33,3ㄱ) 13ㄴ 너의 후손은 남의 나라에서 나그네살이하며사백 년 동안 그들의 종살이를 하고 학대를 받을 것이다(창세 15,13ㄴ). ▷파라오가 밤중에 모세와 아론을 불러 떠나라 한다(탈출 12,31). - 정신을 놓을 정도의 시급한 상황 묘사이다. ▷걸어서..

오경/탈출기 2025.07.17

파스카와 이집트 재앙 일정표

일정표와 관련된 내용은 필자의 의견임을 밝힌다.파라오의 완고함으로 10가지의 재앙이 내린다. 이집트 재앙의 발생은 15일 동안피로 변한 물, 개구리 소동, 모기 소동, 등에 소동, 가축병, 종기, 우박, 메뚜기 소동, 어둠, 그리고 마지막인 이집트 맏아들과 맏배의 죽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자료는 이러한 일정표를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성경 본문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데그 이유는 아래 본문처럼파스카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파스카 축제(탈출 12,1-14)더보기 파스카 축제(탈출 12,1-14) 1주님께서 이집트 땅에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셨다.2너희는 이달을 첫째 달 [1월]로 삼아,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 하여라.(탈출 12,2) 3 이스라엘의 온 공동체에게 이렇게 일러라...

오경/탈출기 2025.06.17

종말론적 시각으로 바라본 이집트 재앙

이집트 재앙은 이스라엘 민족의 탈출을 위해 내려진 사건들이지만,"정녕 악인들의 빛은 꺼지고 그 불꽃은 타오르지 않네."(욥 18,5)라는 말씀처럼하느님 말씀을 거부한 파라오와 같은정의롭지 못한 악인들에게 내린 형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집트 재앙은,정의와 공정을 위해아브라함을 선택하신 하느님께서현재 및 미래의 신앙인들에게 알려주신공식적이면서도 묵시적인 주님의 날에 대한 종말론적 집행 계획이라 할 수 있다. 국지적 소멸을 초래한 이집트 재앙어찌 보면 이집트 재앙은"죄인들의 자녀들이 물려받은 유산이 소멸되고"(집회 41,6)라는 말씀처럼하느님 말씀을 거스른 자들에 대한 '국지적 소멸'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은,노아 홍수처럼 전 세계가 아닌 이집트라는 지역에서물이 피로 변하여 생명수인..

오경/탈출기 2025.06.14

파스카 축제, 맏배의 죽음, 이집트 출발(탈출 12장)

하느님께서는 맏아들의 죽음이 벌어질열번째 재앙에 앞서,마치 파라오에 대한 승리와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주권을 확증하시듯, 주님께서는 이스라엘을 위한 새 해를 선포하신다. “너희는 이달을 첫째 달로 삼아, 한 해를 시작하는 달로 하여라."(탈출 12,2) 이 달은 아빕 달,즉 그 시대의 책력으로 “익은 곡식”의 달이다.후에 이 달은 바빌로니아식 이름인 니산 달로 알려졌다.현대력으로 니산 달은 춘분, 즉 3월에서 4월 사이에 있다. 보리 (탈출 9,31)와 밀(탈출 9,32)과 같은겨울을 난 즉 월동 곡물이 익어가듯만물이 새로 시작하는 봄이다. 새로 시작하시려는 하느님의 기대가이스라엘 백성에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홍수로 모든 것을 없에 버리고 바벨탑으로 민족들을 흩어버리시고당신께서 직접..

오경/탈출기 2025.06.12

열째 재앙의 예고(탈출 11장)

사람의 생명을 소멸시키는극단적인 재앙이 벌어질 것이기에,하느님께서 미리 분명하게 예고하신다. 이집트에게 마지막으로 베푸시는하느님의 자비의 은총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것이그들의 자유라 하여도,보다 중요한 것은징조에 따른 시대의 표징을 분별하는 것이(매태 16,3)그들이 지켜야 할 의무라는 점일 것이다. 탈출기 사가는 하느님께서 파라오의 마음을 완고하게 하셨다고 하지만(탈출 11,10)이집트 파라오의 본성이 그러할 것이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 원하지 않으시는 일을 파라오가 고집을 부리며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여 파라오는 스스로 자신을 신이라 생각하며“그 주님이 누구이기에 그의 말을 듣고 이스라엘을 내보내라는 것이냐? 나는 그 주님을 알지도 못할뿐더러, 이스라엘을 ..

오경/탈출기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