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에즈라기

에즈 4: 성전 건축이 방해를 받다(BC 520)

좋은생각으로 2025. 4. 25. 13:54

 

 

유배에서 돌아온 유다 백성들이

제단을 쌓고 번제를 바친 뒤에(에즈 3,3),

성전의 기초를 놓기 시작한다(에즈 3,8-10).

 

마침내 유다 온 백성이

주님의 집의 기초가 완성 된 것을 보고,

주님을 찬양하며

이민족들이 듣고 놀랄 정도로 크게 환호한다(에즈 3,13).

 

우상을 숭배하던 유다의 행태를 잘 알고 있던 다른 민족들에게,

당시에는 제물을 바치는 산당들이 많았기 때문에

유다가 제단을 쌓고 제물을 바치는 행위는

그다지 큰 위협적인 행동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제단과는 달리

유다 백성의 성전을 세우려는 계획은

그 지방에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

골치 아픈 문제로 다가왔을 것이다. 

 

그러하기에 그 지방 백성은 키루스의 칙령(에즈 1,1)을 무시하고

유다 백성이 성전을 짓지 못하도록 겁을 주어(에즈 4,4)

칙령을 반포한 키루스 통치 기간 동안에도

계획을 좌절 시킨다(에즈 4,5).

 

또한 그들은 키루스를 이은

페르시아의 크세르크세스 임금과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에게도

유다인들을 고발하는 글을 올려 공사를 방해한다.

 

성전 건축은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통치 2년까지 중지되는데 

에즈라기 4장의

1절부터 24절까지는 이러한 과정을 설명한다. 

 

새 계약의 '물질적 이행'- 에즈라, 느헤미야

프롤로그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는예레미야의 예언을 순차적으로 증거하는 역사서이다. BC 629년, 예언자로서의 소명(예레 연대-1)예언자로서의 소명예레미야가 어린 나이에 하느님의 부르심을

suhbundo.tistory.com

 

 

▶에즈라와 느헤미야의 연대별 주요 행적


성전 건축이 방해를 받다

Samaritan Interference

Outside Interference. 외부 방해(RNAB)

4 1돌아온 유배자들이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위한 성전을 짓는다는 말을 [▶BC 520-515년]

유다와 벤야민의 적들이 듣고,

2즈루빠벨 Zerubbabel과 각 가문의 우두머리들에게 다가와서 말하였다.

“우리도 당신들과 함께 성전을 짓게 해 주시오.

아시리아 Neo-Assyria 임금 에사르 하똔 Esarhaddon [BC 681-669]

우리를 이곳으로 끌고 올라온 날부터,

우리도 당신들과 마찬가지로

당신들의 하느님을 찾고 그분께 제사를 드려 왔소.” [4,2] 에즈 4,10.

 

[4,2 주석] 아시리아 Assyria 임금 에사르 하똔 Esarhaddon

더보기

[4,2] 아시리아 임금 에사르 하똔:

유다와 벤야민의  적들은 북왕국이 아시리아 제국에 편입된 후(BC 722년; 비교 2열왕 17,24)

사마리아 지역에 강제로 이주된 외국인의 후손이라고 스스로를 표현한다.
지금은 에사르 하똔(BC 681-669년) 치하에서 정착한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람어 자료(에즈 4,10)는

오스나파르/아수르바니팔(BC 668-627년) 치하에서 행해진 다른 이주를 언급한다.

 

사마리아인의 기원(2열왕 17,24-41)

24 아시리아 임금은

바빌론과 쿠타와 아와와 하맛과 스파르와임에서 사람들을 데려다가,

이스라엘 자손들을 대신하여 사마리아 성읍들에 살게 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은 사마리아를 차지하고 그 성읍들에서 살았다.(2열왕 17,24)

[4,2 관련 본문]

더보기

[4,2] 에즈 4,10.

10그리고 위대하고 고귀하신 아스나파르 Osnappar께서

사마리아 성읍과 그 밖의 나머지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에 이주시켜 살게 하신

나머지 민족들이 상소합니다.” 이제,(에즈 4,10)

3즈루빠벨과 예수아와 나머지 이스라엘 각 가문의 우두머리들이 그들에게 대답하였다.

“당신들과 함께 우리 하느님을 위한 집을 지을 수는 없소.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 [Cyrus, BC 539-530]께서 명령하신 대로,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위한 집을 짓는 것은 우리만의 일이오.”

4그러자 그 지방 백성은 그 집을 짓지 못하도록 유다 백성의 기를 꺾고 겁을 주었다.

 

[4,4 주석] 그 지방 백성

더보기

[4,4] 그 지방 백성: 문자적으로는 “그 땅의 사람들.”

5그들은 또 고문관들을 매수하여,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 Darius Ⅰ, BC 522-486년]가 통치할 때까지,

곧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의 통치 기간 내내,

유다인들의 계획을 좌절시켰다.

 

[4,5 주석] 다리우스

더보기

[4,5] 다리우스: 다리우스 1세(▷BC 522-486년).

성전 건축 이야기는 24절에서 계속된다.
이 본문 사이(에즈 4,6-23절)에는

BC 5세기 초 성전이 재건된 후 

귀환한 유배민의 성벽 건설에 대해 페르시아 궁정이 가진 일련의 관심이 나온다.

 

▶ 성전과 관련된 내용인 에즈 4,24절이 이곳에서 이어져야  한다. 

 

<에즈4> 24그리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하느님의 집 공사 [ 성벽이 아닌 성전 복구]는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 Darius Ⅰ, 재위:BC 522-486년]

통치 제이년 [BC 520년]까지 중지되었다.

 

[4,24 주석]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통치 제이년

더보기

[4,24]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2년:

 BC 520년. 성전의 성공적인 복구가 시작된 해로,

그로부터 5년 뒤[BC 515년]에 성전이 복구 완료된다(에즈 5,1 - 6,18).

 

성전을 다시 짓기 시작하다(에즈 5,1-17)

키루스의 칙령이 발견되다(에제 6,1-5)

다리우스 임금의 명령(에즈 6,6-12)

성전 준공과 봉헌(에즈 6,13-18)

다리우스 통치 제이년 [BC 520년]은  성전 복구가 시작된 해로,
그로부터 5년 뒤인 BC 515년에 성전 복구가 완료된다(에즈 5,1 - 6,18).


<에즈 5장>
성전을 다시 짓기 시작하다(에즈 5,1-17)

키루스의 칙령이 발견되다(에제 6,1-5)

<에즈 6장>
다리우스 임금의 명령(에즈 6,6-12)
성전 준공과 봉헌(에즈 6,13-18)

▶아래의 느헤 4, 6- 23절은 성전이 아닌 성벽 건축  [기간: BC 446-445년] 에 관한 내용이다. 

방해가 계속되다

Later Hostility

Later Hostility. 나중의 적대감(RNAB)

6크세르크세스 [ Ahashuerus 1세, 재위: BC 486-465년]의 통치 때에는,

그의 통치가 시작되자마자

그들이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을 고발하는 글을 올렸다.

 

[4,6 주석] 크세르크세스

더보기

[4,6] 크세르크세스 : 아하수에루스(재위: BC 486-465년).

그의 통치 초기에는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7아르타크세르크세스 (Artaxerxes 1세, 재위: BC 465-424년)때에도

비슬람과 미트르닷 Mithredath과 타브엘 Tabeel

그의 나머지 동료들이

페르시아 임금 king of Persia 아르타크세르크세스에게 글을 올렸다.

그 서신은 아람 말로 쓰였고 번역도 되었다.

(The document was written in Aramaic and was accompanied by a translation.)

아람 말.

 

[4,7 주석]  아람말 관련 본문 해설 ☞  아람어 부분은 6,18로 끝난다

더보기

[4,7] 히브리어에서 아람어로 바뀌었음을 나타내는 주석이 원본 텍스트에 있다.
여기서 시작하는 아람어 부분은 6,18로 끝난다.

에즈 7,12-26에서 아람어로 된 임금의 편지가 인용된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이 칙령을 내리다(에즈 7,11-26)

8지방 장관 governor 르훔 Rehum과 서기관 scribe 심사이 Shimshai

이렇게 예루살렘을 고발하는 장계를

아르타크세르크세스(Artaxerxes 1세, 재위:BC 465-424년)에게 올렸다.

 

[4,8-23 주석] 관련 본문 해설 

더보기

[4,8-23]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BC 465-424년)에게 보낸 편지는

성전 건축이 아니라 예루살렘의 성벽 건축을 다룬다.


BC 445년 이전에 성벽 공사가 중단된 것이

느헤미야가 그 지방에 도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느헤 1,1-4; 2,1-5).

 

느헤미야가 유다로부터 슬픈 소식을 듣다(느헤 1,1-3)

1 하칼야의 아들 느헤미야의 말.

제이십년 키슬레우 달,

내가 수사 왕성에 있을 때,

2 내 형제 가운데 하나인 하나니가 몇 사람과 함께 유다에서 왔다.

나는 포로살이를 모면하고 살아남은 유다인들과 예루살렘에 대하여 물어보았다.

3 그러자 그들이 나에게 대답하였다.

“포로살이를 모면하고 그 지방에 남은 이들은 큰 불행과 수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성벽은 무너지고 성문들은 불에 탔습니다.”

느헤미야의 기도(느헤 1,4-11)

4 나는 이 말을 듣고 주저앉아 울며 여러 날을 슬퍼하였다. 그

리고 단식하면서 하늘의 하느님 앞에서 기도하며,(느헤 1,1-4)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으로 오다(느헤 2,1-5)

1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 제이십년 니산 달,

내가 술 시중 담당이었을 때,

나는 술을 가져다가 임금님께 올렸다.

그런데 내가 이제까지 임금님 앞에서 슬퍼한 적이 없기 때문에,

2 임금님께서 나에게 물으셨다.

“어째서 슬픈 얼굴을 하고 있느냐?

네가 아픈 것 같지는 않으니,

마음의 슬픔일 수밖에 없겠구나.”

나는 크게 두려워하면서,

3 임금님께 아뢰었다.

“임금님께서 만수무강하시기를 빕니다.

제 조상들의 묘지가 있는 도성은 폐허가 되고 성문들은 불에 타 버렸는데,

제가 어찌 슬픈 얼굴을 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4 그러자 임금님께서 나에게,

“네가 바라는 것이 무엇이냐?” 하고 물으시기에,

나는 하늘의 하느님께 기도를 올리고,

5 임금님께 아뢰었다.

“임금님께서 좋으시다면,

그리고 이 종을 곱게 보아 주신다면,

저를 유다로,

제 조상들의 묘지가 있는 도성으로 보내 주셔서,

그 도성을 다시 세우게 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느헤 2,1-5) 

9“지방 장관 르훔,

서기관 심사이와 나머지 동료들,

판관들,

사절들,

관리들,

감독관들,

에렉인들,

바빌론인들,

수사인 곧 엘람인들,

10그리고 위대하고 고귀하신

아스나파르 Osnappar께서

[☞ 아수르바니팔 Assurbanipal(신아시리아 임금, 재위: BC 668-627년)]

사마리아 성읍과 그 밖의 나머지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에 이주시켜 살게 하신

나머지 민족들이 상소합니다.”

이제,

 

[4,10 주석] 아스나파르

더보기

[4,10] 아스나파르: 아마도 신아시리아 임금인 아수르바니팔(Ashurbanipal)일 것이다.

에즈 4,2에 대한 주석 참조.

11그들이 임금에게 보낸 장계의 사본은 이러하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님 [재위: BC 465-424년]께.

임금님의 종들,

곧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에 있는 사람들이 인사드립니다.

이제,

12임금님께서는 이러한 사실을 아시기 바랍니다.

임금님 곁을 떠나

저희가 있는 곳으로 올라온 유다인들이 예루살렘으로 가서,

반역과 사악의 도성을 다시 짓고 있습니다.

 

성벽 쌓는 일을 끝내 가고,

기초를 다지고 있습니다

13그러니 이제 임금님께서는 이러한 사실을 아시기 바랍니다.

곧 그들이 이 도성을 다시 짓고 성벽 쌓는 일을 끝내고 나면,

조공도 관세도 세금도 바치지 않아,

왕실 수입에 손실을 끼치리라는 것입니다.

 

14궁궐의 소금을 나누어 먹은 저희가

임금님의 수치를 보고만 있는 것이 합당하지 않기에,

이렇게 글월을 보내어 임금님께 알려 드리는 바입니다.

 

[4,14 주석] 궁궐의 소금을 나누어 먹은

더보기

[4,14] 궁궐의 소금을 나누어 먹은: 궁궐의 이익을 함께 나눈다는 뜻의 관용어.

15그러니 선왕들의 실록을 살펴보십시오.

이 도성이 반역의 도성으로 여러 임금과 여러 지방에 손실을 끼쳤고,

그 안에서는 예로부터 반란이 일어나곤 하였으며,

또 그 때문에 이 도성이 폐허가 되었음을

그 실록에서 보아 아시게 될 것입니다.

16그래서 이 도성이 다시 지어지고 성벽 쌓는 일이 끝나게 되면,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이

더 이상 임금님 차지가 되지 않으리라는 사실을

저희가 임금님께 알려 드리는 바입니다.”

 

17그러자 임금이 칙령을 보냈다.

 

“지방 장관 르훔,

서기관 심사이,

그리고 사마리아와 나머지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에 사는

다른 동료들도 평안하기를 빈다.

이제,

18그대들이 우리에게 보낸 편지가 내 앞에서 분명하게 낭독되었다.

19그래서 내가 명령을 내려 살펴보게 하니,

과연 그 도성은 예로부터 여러 임금을 거슬러 봉기하였으며,

그 안에서 반역과 반란이 거듭 일어났음이 드러났다.

20더구나 예루살렘에는 일찍이 강력한 임금들이 있어,

유프라테스 서부 지방 전체를 장악하고,

조공과 관세와 세금을 거두어들이곤 하였다.

21그러므로 그대들은 명령을 내려 그자들의 작업을 중지시키고,

내가 명령을 내릴 때까지 그 도성을 다시 짓지 못하게 하여라.

22그러나 이 일을 소홀히 다루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피해가 커져서 왕실에 손실을 끼쳐서야 되겠느냐?”

 

23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이 보낸 편지 사본이

르훔과 심사이 서기관과 동료들 앞에서 낭독되었다.

그러자 그들은 서둘러 예루살렘으로 유다인들에게 가서,

무력과 강압으로 작업을 중지시켰다. [4,23] 느헤 1,3.

 

[4,23 관련 본문]

더보기

[4,23] 느헤 1,3.

3 그러자 그들이 나에게 대답하였다.

“포로살이를 모면하고 그 지방에 남은 이들은 큰 불행과 수치 속에 살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성벽은 무너지고 성문들은 불에 탔습니다.”(느헤 1,3)

 사제이며 율법 학자인 에즈라
    아르타크세스(1세) 임금 제7년인 BC 458년에 예루살렘에 오고(에즈 7,7),

   성벽 공사
   아르타크세르크세스(1세) 제20년인 BC 446년에 시작하여
   BC 445년에 마무리 된다.
 성벽 공사 관련 본문: 느헤 2,1; 6,15 
 에즈라의 귀환부터 성벽 공사가 완료된 기간은 12여년이다. 
    에즈라는 이 기간 동안
    고대-히브리어 Paleo-Hebrew 성경을
    아람-히브리어 Aramaic-Hebrew 성경으로 번역했을 것이다.
   (참조: 아래 성경 번역본 변천도 및 느헤 8,8)

 

▶성경 번역본 변천도


아래 24절은 '성전 공사'에 관한 것이므로
   에즈 4,6(방해가 계속되다, 에즈 4,6-23)의 앞으로 가야 한다.
  성전 공사(BC 520-515년)가 성벽 공사(BC 446-445년)보다 먼저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24그리하여 예루살렘에 있는

하느님의 집 공사 [성벽이 아닌 성전 복구]는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 Darius Ⅰ, 재위: BC 522-486년]

통치 제이년 [BC 520년]까지 중지되었다.

 

[4,24 주석]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통치 제이년

더보기

[4,24] 페르시아 임금 다리우스 2년:

BC 520년. 성전의 성공적인 복구가 시작된 해로,

그로부터 5년 뒤 [BC 515년]에 성전이 복구 완료된다(에즈 5,1 - 6,18).

 

성전을 다시 짓기 시작하다(에즈 5,1-17)

키루스의 칙령이 발견되다(에제 6,1-5)

다리우스 임금의 명령(에즈 6,6-12)

성전 준공과 봉헌(에즈 6,13-18)


◀이전 파일

 

에즈 3: 제단을 쌓고 성전 기초를 놓다(BC 538/7)

유배자들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다. 이 시기는 티스리(9월-10월), 귀환 첫 해(BC 538년)로 보인다.예루살렘에 제단을 쌓고, 그 후 두 번째 해(BC 537년)에 일어난 사건들이 이어지는데(에즈 3,8)이 경우

suhbundo.tistory.com

▶이후 파일

 

에즈 5: 세스바차르가 하느님의 집의 기초를 놓다(BC 520)

하까이와 즈카르야 예언자는 다리우스 1세의 초기 시절에 활동했다.그들은 성전 재건과 다윗의 후손인 즈루빠벨과 관련된 메시아에 대한 기대를 기록한다. ▶에즈라와 느헤미야의 연대별 주요

suhbund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