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이사야서(ca. BC 740)/임마누엘서 14

이사야의 아들, 마헤르 살랄 하스 바즈(이사 8,1-4)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의 이름이 주님의 뜻을 나타내는 의미를 지니게 되면 그 계시는 하느님 뜻을 분명히 드러내는 것이다.  아람과 에프라임이 유다를 침공할 때 주님께서 이사야에게 아이의 이름을 '지체없이 약탈하는'을 의미하는  "마헤르 살랄 하스 바즈"(이사 8,3)로 하라고 말씀하신다.  그러시면서 아이가 ‘아빠’, ‘엄마’라 부를 줄 알기 전에아람의 다마스쿠스의 재물과 이스라엘의 사마리아의 전리품이아시리아의 티글랏 필에세르 임금 앞으로 운반될 것(이사 8,4)이라고 말씀하신다.  아람과 에프라임이 BC 735년에 시로-에프라임 전쟁을 일으켜,아람과 이스라엘이 유다를 약탈하지만(2역대 28,5-6),결국에는 아시리아에 패퇴하여 이스라엘은 BC 723년에 멸망하게 된다.  아이가 부모와 함께 있듯이,하느님..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이사 7,10-25)

하느님께서 아하즈에게 "아무것이나 청하라"고 말씀하시지만,아하즈는 "주님을 시험하지 않으렵니다"라고 대답한다. 시험하지 않겠다는 말은 일견 배려하는 것처럼 들리지만,이사야가 "나의 하느님까지 성가시게 하려 합니까?" 라고 질타하듯이, 이는 아예 하느님에게 묻지도 듣지도 않겠다는 교만이 가득찬 대답인 것이다즉 내 일은 내가 알아서 할태니까 내버려 두라는 의미이다.다시 말하여 하느님께 의지하기 보다는아시리아 임금에게 도움을 청하겠다는 아둔한 답변인 것이다.   그래서 이사야가 "주님께서 몸소 여러분에게 표징을 주실 것입니다."라고 말하면서,"젊은 여인이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할 것입니다."(이사 7,14)라고 계시한다. 임마누엘은 번역하면'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 라는 뜻이다...

이스라엘이 형제인 유다를 침략하다(이사 7,1-9)

시로-에프라임 전쟁은 기원전 8세기에신 아시리아 제국 Neo-Assyrian Empire이 강력한 나라로 등장할 때 일어났다.아시리아로 부터 벗어나려는 아람-다마스쿠스(아람)의 속국들과이스라엘 왕국(에프라임)이 독립하기로 결정하고,유다의 아하즈 임금에게도 연합에 합류하자고 권한다.  유다가 거부하자 BC 735년에,르친이 다스리는 아람-다마스쿠스와 페카가 통치하던 이스라엘이  유다를 공격하여  아하즈 임금을 폐위시키려 했다.유다가 패배하였는데, 2역대 28,6에 따르면, 단 하루에 120,000명의 군대를 잃었다.임금의 아들 마아세야를 포함하여 많은 관리들이 죽임을 당했으며, 200,000명의 사람들이 끌려갔다. 이 전쟁에 대해 2열왕 16,5는 르친과 페카가 예루살렘을 포위했지만 점령하지 못했다고 말한..

임마누엘, 이사야가 주님을 뵙다 (이사 6,1-13)

이사야가 높이 솟아오른 어좌에 앉아 계시는 주님을 뵈었는데,주님께서 “내가 누구를 보낼까?누가 우리를 위하여 가리오?” 하고 물으시자, “제가 있지 않습니까? 저를 보내십시오.” 하고 이사야가 아뢰었다(이사 6,8).  입술이 더럽다고 외친 이사야가 이렇게 말할 수 있었던 것은사랍을 통한 "너의 죄는 없어지고 너의 죄악은 사라졌다.”(이사 6,7)라는 주님의 말씀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 임마누엘.  이사야서 제1부(1―39장)더보기      1편. 이사야의 고발(1,1―5,30)    2편. 임마누엘서(6,1―12,6)      3편. 이방 민족에 대한 신탁(13,1―23,18)      4편. 이사야의 묵시(24,1―27,13)      5편. 주님을 경외하라(28,1―33,24)      6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