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1 마카베오기 19

'천국의 계단(Scala Caeli)'으로 이끄는 디딤돌

아무것도 아닌 대단한 사람들의 세상사를 읽다마카베오기 본문의 주요 내용은안티오코스 IV 에피파네스의 즉위 연도인BC 175년부터(1마카 1,10)마타티아스의 자손인요한 히르카누스가 대사제직에 오른BC 134년까지(1마카 16,24),현재의 중동에 위치한 지역에서사십여 년 동안 벌어진당시 세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그 기간동안 마카베오기에 등장하는 주요 국가는현대의 이스라엘, 시리아, 이집트,그리스, 로마, 이란, 이라크 등이다.  그리고 당시 주요 세력은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국,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란의 파르티아 왕국,튀르키예의 페르가몬 왕국, 로마의 공화정 등으로이들 나라들의 다양한 역학 관계가마카베오기에 녹아들어 있다.  한편 이들 국가 간의 지정학적 주요 관계는유다와 로마와의 우호 동맹..

정의와 평화는 이루어졌는가? 마카베오... !(1마카 16)

대사제 시몬의 아들인유다 Judas와 요한 John이,안티오코스 VII 시데테스가유다를 침략하라고 보낸해안 지방 수장인 켄데배오스를 축출한다(1마카 16,9).  그렇지만 전쟁이 끝난 후,유다 지방을 차지하려는아부보스의 아들이며 시몬의 사위인예리코 지방의 장수인 프톨레마이오스가장인인 시몬과 그의 아들인 유다를예리코로 불러 살해한다.(1마카 16,16)  아버지와 형제의 죽음을 전해 들은 시몬이자신을 죽이려 온 병사들을 죽인 후대사제에 오른다(1마카 16,24).  이렇게 시몬의 아들인요한 히르카누스(직무 기간: BC 134-104년 RNAB)가대사제직에 오른 사실을 끝으로,마카베오기 상권의 이야기는 끝난다. 다시 말하여 마카베오기는 "키팀 땅 출신의 마케도니아 사람으로,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는 ..

혐오스러운 자의 또 다른 아들이 시비를 걸다(1마카 15)

데메트리오스 II 니카토르 [BC 145-138; 129-125]가 트리폰과의 전투에 필요한 지원을 구하기 위해메디아로 가지만,당시 그 지역을 지배하던 파르티아의 임금 아르사케스 [BC 165-132년]에게 붙잡힌 후파르티아 임금의 딸과 혼인하게 된다.  트리폰의 세력이 점점 확장되자니카토르의 형제이면 데메트리오스 I 소테르 [BC 162-150] 의 아들인안티오코스  VII 시데테스 [BC 138-129]가 자기 조상들의 땅인 시리아로 건너와 임금이 된다.   안티오코스는 시몬과 맺은 계약을 파기하고켄데베오스를 보내 유다를 공격하게 한다.  ▶마카베오기 상권 15장 본문더보기안티오코스가 유다인들에게 보낸 편지 Letter of Antiochus(NAB) Letter of Antiochus VII.(RN..

유다에 안정된 체제가 들어서다(1마카 14)

셀레우코스 왕조가 쇠퇴하는 과정에서이스라엘 백성은  유다 봉기를 이끌었던 마타티아스 집안의시몬 타씨를 새로운 지도자로 세운다.  시몬의 권위와 권한은"지도자와 대사제가 된다."(1마카 14,41) "자주색 옷을 입고 금 죔쇠를 찬다."(1마카 14,43)라는 본문에서 드러난다. 그렇지만 아직은 완전한 독립 국가 형태는 아니다. 그리스력 백칠십이년에 [▶BC 141/140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 임금은  트리폰과 싸우려고 군대를 모은 다음, 도움을 얻으러 메디아 Media로 간다.(1마카 14,1) 그러나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임금 아르사케스 Arsaces는 데메트리오스가 자기 영토에 들어왔다는 보고를 듣고, 그를 사로잡으라고 장수 하나를 보내어(1마카 14,2),데메트리오스의 군대를 치고 그를 잡아..

이스라엘이 이민족들의 멍에에서 벗어나다(1마카 13)

트리폰에 의해 요나탄 아푸스의 군사들이 프톨레마이스에서 몰살당하고요나탄은  바스카마에 이르러 죽임을 당한다.(1마카 13,23)[▶ BC 143년] 그래서 유다 백성들이 큰 소리로 시몬에게 대답하였다. “유다와 당신의 아우 요나탄 대신에 이제 당신이 우리의 지도자입니다. (1마카 13,8)    우리의 전쟁을 맡아 싸워 주십시오. 당신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겠습니다.” (1마카 13,9)    시몬은 전사들을 모두 모아, 서둘러 예루살렘의 성벽을 수축하는 일을 끝내고 그 둘레를 튼튼히 하였다. (1마카 13,10)  한편 트리폰은 Diodotus Tryphon[BC142-138] 나이 어린 안티오코스 Antiochus V Dionysus[BC 145-142] 임금을 배반하고 그를 죽였다. ..

새로운 악이 등장하다(1마카 12)

마카베오의 동생 요나탄이  초청받아 들어간 프톨레마이스에서 그곳 주민들에 의해 그의 군사들이 무고하게 살해된다(1마카 12,48).   알렉산드로스 I 에피파네스(발라스)가 데메트리오스 II 니카토르와의 전쟁에서 전사하자그의 3살의 어린 아들인 안티오코스 VI 디오니소스가 임금이 된다.  (▷출생: BC 148, 사망: BC 142/141, ▷재위 BC 145 혹은 144초기 - BC 142/141) 디오니소스가 너무 어리기 때문에 디오도투스 트리폰이 가정교사가 되어 섭정을 하게 된다. 디오니소스의 어머니인 클레오파트라 테아는BC 164년에 태어나BC 151년 13살의 나이에 알렉산드로스와 혼인했기 때문에 디오니소스가 임금이 된 해인  BC 145년에 그녀는 19살 정도가 되므로트리폰의 세력이 클레오파트..

혐오스러운 자들이 서로 혼란을 부추기다(1마카 11)

마카베오기의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볼수록그 안에 숨어 있는잔혹함과 더러움에 치를 떨게 될 것이다.  마카베오기는 사람에게인간으로서의 부족함을 알게 한다. 그러므로 마카베오기를단순히 유다라는 민족의 투쟁사로 읽어서는 안될 것이다.  구약에서 신약으로 건너는 과정에놓여 있는 마카베오기,  단순히 역사서가 아닌정의와 공정이라는 말씀 안에서,필자가 마카베오기를 풀어가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제부터는 본문을 있는 그대로 읽어가고자 한다. 또한 관련된 역사적 배경도 인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마카베오기와 관련된 게시글들을 읽으면서하느님께서 아브라함을 선택하신 이유인정의와 공정에 대해 어느정도 이해했기 때문이다.  정의와 공정으로 일어선 사람들의이야기를 다룬 마카베오기가보편 교회에 던지는일상적인 화두가 되었으면..

이스라엘에 독립 국가로서의 기틀이 만들어지다(1마카 10)

본문 개요(1마카 10장)시리아에 두 임금이 들어서다데메트리오스 I 소테르가안티오코스 IV 에피파네스의 아들 에우파토르를 살해하고임금이 되자(1마카 7,4), 안티오코스 IV 에피파네스의 아들이라 주장하는알렉산드로스 I 에피파네스(알렉산드로스 I 발라스)가 갈릴래아 서쪽 해안 가에 있는 프톨레마이스로 들어 와사람들의 환영과 함께 왕위에 오른다(1마카 10,1). [▶BC 152년]    시리아의 두 임금이 요나탄과 화친을 맺다그러자 데메트리오스 I 소테르는알렉산드로스 I 에피파네스가 요나탄과 화친을 맺을 것을 우려하고 요나탄에게 군대를 모으는 권한을 주고예루살렘 성채에 가둔 인질들도 요나탄에게 준다(1마카 10,6).  그러자 미크마스에 있던(1마카 9,73) 요나탄이예루살렘에 자리를 잡은 뒤,도성을 보..

사악한 자들이 척결되다(1마카 9)

프롤로그대사제였지만 간악무도한 자들인야손(2마카 4,7) [BC 175-172],메넬라오스(2마카 4,24) [BC 172-165],그리고 알키모스(1마카 7,9; 2마카 14,13) [BC162-159]는하느님의 백성을 잘못 이끈 사악하고 거짓된 사제들였다.  더보기야손셀레우코스가 생을 마감하고 에피파네스라고 하는 안티오코스가 왕좌를 이어받았을 때, 오니아스의 동생 야손이 부정한 방법으로 대사제직을 차지하였다.(2마카 4,7) 메넬라오스그런데 메넬라오스는 임금에게 인도되자 자신을 권위 있는 것처럼 내세우고, 야손보다 은 삼백 탈렌트를 더 바쳐 대사제직을 확보하였다.(2마카 4,24) 알키모스임금은 자기가 대사제로 세운 사악한 알키모스와 함께 그를 보내면서,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보복하라고 명령하였다.(1..

유다인들이 로마와 우호 동맹을 맺다(1마카 8)

로마를 찬양하는 1마카 8장은,마카베오를 뒤 이은 세기에서마카베오기가 필리스티아에 살던 유다인들에 의해보존되지 않은 이유 중 하나이다.(RNAB 주석) 본문에는 여러 시대적 상황이 나온다.자세한 내용은 본문 해설을 참조하기 바란다. ▶마카베오기 상권 8장 본문더보기로마인들에 관한 찬사 Treaty with the Romans(NAB) Eulogy of the Romans.(RNAB)8 1유다 Judas Maccabeus는 로마인들 Romans의 명성을 들었다. 그들은 대단히 강력하면서도, 저희 편에 서는 이들은 누구에게나 호의를 베풀고, 저희에게 다가오는 이들은 누구와도 우호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었다. 2그들은 정말 대단히 강하다는 것이었다. 유다는 또 그들이 갈리아인들 Gauls과 용감하게 싸워 그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