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이 존재하여도 현미경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자세히 관찰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현미경도 광학현미경으로는 명확히 구분이 어려워, 전자현미경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미생물의 존재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무덥고 지루한 장마기간 동안에 벽지에 피어오르는 검정곰팡이,
된장 담그려고 처마 밑에 메달아 놓은 메주 표면의 알록달록한 솜털모양의 곰팡이,
청국장 띄울 때 콩과 콩 사이에 끈적끈적한 모양으로 엉켜있는 고초균,
김치를 발효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
포도 표면에 피어오르기도 하는 하얀색의 효모,
콩이나 클로버 뿌리에 구슬모양으로 달려있는 뿌리혹박테리아,
작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종류의 미생물이 있습니다.
가장 많은 수의 미생물이 존재하는 곳은 흙으로,
많게는 그람 당 수십억 개 이상의 세포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쌀 알 만 한 흙속에 수십억 마리.... 참으로 많습니다!
과정 즉 손으로 미생물을 다루는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최신원예, 2008. 12.>
3-4-2 배지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균수를 세는 방법
물에 떠있는 개구리밥처럼 맨눈으로 보이는 것은 손이나 핀셋 등으로 쉽게 헤아릴 수 있지만, 너무 작아 현미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 미생물을 헤아리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선택적으로 자랄 수 있는 먹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쓴다. 즉 미생물의 먹이인 배지가 들어있는 조그마한 접시 안에서 미생물이 자라게 하여 균수를 측정하거나 분리하는 일명 희석평판 배양법이라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눈으로 보이지 않는 조그마한 세포나 포자를 증식시켜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균총[그림으로 자라게 하는 것이다.
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보이게 되는 것은 미생물은 자라면서 일정 시간(세대 기간)이 지나면 두 개로 나뉘어 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분에 2개로 나뉘는 균이라면 10시간만 지나도 약 10억 개가 되어, 이들 균이 무리지어 있는 균총은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된다. 다시 설명하면, 한 시간에 3번 분열하므로 10시간 동안 30번 분열하게 된다. 즉 하나가 둘이 되고 둘이 넷이 되고 넷이 여덟이 되는 과정을 30회 정도만 거쳐도 1 → 2 → 4 → 8 → 16 → 32 → 64 → 128→ ㆍㆍㆍ → 1,073,741,824(십억 칠천 삼백 칠십 사만 천 팔백 이십 네) 개가 된다.
이렇게 증식하면 아래 그림처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기의 균총 즉 콜로니가 형성된다.
이 균총 즉 콜로니는 실험에 사용한 시료(토양)에 들어있는 하나의 세포에서 형성된 것 이므로 시료 중에 존재하는 하나의 균으로 헤아린다.
희석평판배양법에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작물을 재배하는 토양 시료 1 그람gram 안에는 수십억에서 수백억개에 이르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토양 속의 미생물이 아래 그림과 같은 조그마한 배양접시 안에 모두 나오게 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바닥에 쫙 깔려 도저히 셀 수 없게 되겠지요.
그래서 시료를 천배, 만배 혹은 십만 배 등으로 희석하여, 아래 그림 처럼 납작한 배지판 즉 평판 위에 일정량의 시료용액(보통 1ml)을 넣고(접종하고) 배양하면 콜로니 하나 하나가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즉, 토양시료를 물로 희석하여, 평평하게 굳은 한천 배지의 판위에 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접종하고 나서, 배양기 안에서 배양한다는 의미 입니다. 희석평판 배양법은 미생물 연구에 매우 중요한 방법입니다.
'생태계와 미생물 > 미생물을 내 손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생물의 수를 세는 방법 (0) | 2018.12.12 |
---|---|
배지 만들기 (0) | 2018.12.12 |
미생물을 다루는 법 (0) | 2018.12.11 |
미생물의 생육상 (0) | 2018.12.11 |
미생물 생육 요인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