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 161

세스바차르가 하느님의 집의 기초를 놓다(에즈 5, BC 520)

성전을 다시 짓기 시작하다Rebuilding of the Temple 5 1그때에 하까이 Haggai 예언자와 이또 Iddo의 아들 즈카르야 Zechariah 예언자가 유다와 예루살렘에 있는 유다인들에게, 그들 위에 계신 이스라엘의 하느님 이름으로 예언하였다. [5,1] 하까 1,14 – 2,9; 즈카 4,9.  [5,1 주석] 하까이 에언자와 이또의 아들 즈카르야 예언자더보기[5,1] 하까이 에언자와 이또의 아들 즈카르야 예언자:하까이와 즈카르야는 다리우스 1세의 초기 시절에 활동했다.그들은 성전 재건과 다윗의 후손인 즈루빠벨과 관련된 메시아적 기대를 기록한다.[5,1 관련 본문]더보기[5,1] 하까 1,14 – 2,9; 즈카 4,9. 14주님께서 스알티엘의 아들 즈루빠벨 유다 총독의 영과 여호차닥의 ..

성전과 성벽 건축의 방해를 받다(에즈 4, BC 520-515; 486-445)

성전 건축이 방해를 받다Samaritan InterferenceOutside Interference.(RNAB) 4 1돌아온 유배자들이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을 위한 성전을 짓는다는 말을 유다와 벤야민의 적들이 듣고, 2즈루빠벨 Zerubbabel과 각 가문의 우두머리들에게 다가와서 말하였다. “우리도 당신들과 함께 성전을 짓게 해 주시오. 아시리아 Assyria 임금 에사르 하똔 Esarhaddon [▷BC 681-669]이우리를 이곳으로 끌고 올라온 날부터, 우리도 당신들과 마찬가지로 당신들의 하느님을 찾고 그분께 제사를 드려 왔소.” [4,2] 에즈 4,10.  [4,2 주석] 아시리아 Assyria 임금 에사르 하똔 Esarhaddon 더보기[4,2] 아시리아 임금 에사르 하똔:유다와 벤야민의  적..

즈루빠벨이 제사 드리고 성전을 짓기 시작하다(에즈 3, BC 537)

다시 제사를 드리기 시작하다Restoration of the Altar 3 1일곱째 달이 되었다. 이스라엘 자손들은 저마다 제 성읍에 살고 있었는데, 그때가 되자, 백성이 일제히 예루살렘으로 모여들었다. [3,1] 느헤 7,7–71.  [3,1 관련 본문]더보기[3,1] 느헤 7,7–7.  일차 귀환자들의 명단과 수(느헤 7,5-71)2여호차닥 Jozadak의 아들 예수아 Jeshua가 일가 사제들과 스알티엘 Shealtiel의 아들 즈루빠벨 Zerubbabel과 그의 형제들과 함께 나서서, 하느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쓰인 대로 이스라엘의 하느님께 번제물을 올릴 제단을 쌓았다. [3,1-2 주석]  일곱째 달더보기[3,1-2] 일곱째 달: 티스리(9월-10월), 귀환 첫 해(BC 538년)로 보이며, ..

즈루빠벨과 함께 돌아온 유배자들(에즈 2, BC 538)

돌아온 유배자들Census of the ProvinceA Census of the Returned Exiles.(RNAB) [2,1-67 주석] 관련 본문 해설더보기[2,1-67] 현재 상태로 볼 때,느헤미야 7,6-72에도 나오는 이 목록은BC 6세기의 바빌로니아 귀환민 목록의 확장된 형태이다.그것은 재건된 성전 공동체의 회원 자격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시민적 지위와 아마도 재산에 대한 권리도 이 회원 자격에 달려 있었을 것이다.2 1바빌론 임금 네부카드네자르가 바빌론으로 사로잡아 간 유배자들 가운데 포로살이를 마치고 고향으로 올라온 지방민은 이러하다. 이들은 예루살렘과 유다로, 곧 저마다 제 성읍으로 돌아온 이들이다. [2,1] 느헤 7,6–72.   [2,1 관련 본문]더보기 [2,1] 느헤..

예레미야의 입을 통해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다(에즈 1)

I. THE RETURN FROM EXILE 유배로부터의 귀환 (RNAB)바빌론 유배가 끝나다The Decree of CyrusThe Decree of Cyrus.(RNAB) 1 1페르시아 Persia 임금 키루스 Cyrus 제일년이었다. [▶ BC 538 RNAB]     [☞  다니엘서의 메디아사람 다리우스 (Cyaxares Ⅱ)와의 공동 섭정 기간을  BC  539-537년으로 한 경우에는 BC 536년. 다니 6,1].주님께서는 예레미야 Jeremiah의 입을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고,페르시아임금 키루스의 마음을 움직이셨다.그리하여 키루스는 온 나라에 어명을 내리고칙서도 반포하였다. [1,1] 에즈 6,3–5; 2역대 36,22–23; 예레 25,11–12; 29,10; 즈카 1,12. [1..

에즈라기 서언

에즈라기히브리어 정경의 마지막 네 권은 순서대로 하여에즈라기, 느헤미야기, 역대기 상권, 그리고 역대기 하권이다. 그러나 한때 에즈라와 느헤미야는역대기 상하권 뒤에 왔으며일반적으로 "역대기 편자"로 알려진한 명의 동일한 저자의 작품으로 여겨졌다.그러나 최근 들어 에즈라기와 느헤미야기의저자에 대한 문제는 더 복잡해졌다.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저자의 단일성을 유지하는 반면,다른 학자들은 단일 책으로서의 에즈라-느헤미야기 형성에 있어"연대기 학파"의 영향에 대해 말하는 것을 선호한다.초기 편집자들이 에즈라-느헤미야기를한권의 책으로 취급한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고대에 두 책이 하나의 이름인 에즈라로 분류되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에즈라-느헤미야 합본 작품은 바빌론 유배 이후 유다 지방에서유다 종교 공동체의 형성에..

'천국의 계단(Scala Caeli)'으로 이끄는 디딤돌

아무것도 아닌 대단한 사람들의 세상사를 읽다마카베오기 본문의 주요 내용은안티오코스 IV 에피파네스의 즉위 연도인BC 175년부터(1마카 1,10)마타티아스의 자손인요한 히르카누스가 대사제직에 오른BC 134년까지(1마카 16,24),현재의 중동에 위치한 지역에서사십여 년 동안 벌어진당시 세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그 기간동안 마카베오기에 등장하는 주요 국가는현대의 이스라엘, 시리아, 이집트,그리스, 로마, 이란, 이라크 등이다.  그리고 당시 주요 세력은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왕국,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란의 파르티아 왕국,튀르키예의 페르가몬 왕국, 로마의 공화정 등으로이들 나라들의 다양한 역학 관계가마카베오기에 녹아들어 있다.  한편 이들 국가 간의 지정학적 주요 관계는유다와 로마와의 우호 동맹..

정의와 평화는 이루어졌는가? 마카베오... !(1마카 16)

대사제 시몬의 아들인유다 Judas와 요한 John이,안티오코스 VII 시데테스가유다를 침략하라고 보낸해안 지방 수장인 켄데배오스를 축출한다(1마카 16,9).  그렇지만 전쟁이 끝난 후,유다 지방을 차지하려는아부보스의 아들이며 시몬의 사위인예리코 지방의 장수인 프톨레마이오스가장인인 시몬과 그의 아들인 유다를예리코로 불러 살해한다.(1마카 16,16)  아버지와 형제의 죽음을 전해 들은 시몬이자신을 죽이려 온 병사들을 죽인 후대사제에 오른다(1마카 16,24).  이렇게 시몬의 아들인요한 히르카누스(직무 기간: BC 134-104년 RNAB)가대사제직에 오른 사실을 끝으로,마카베오기 상권의 이야기는 끝난다. 다시 말하여 마카베오기는 "키팀 땅 출신의 마케도니아 사람으로,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는 ..

혐오스러운 자의 또 다른 아들이 시비를 걸다(1마카 15)

데메트리오스 II 니카토르 [BC 145-138; 129-125]가 트리폰과의 전투에 필요한 지원을 구하기 위해메디아로 가지만,당시 그 지역을 지배하던 파르티아의 임금 아르사케스 [BC 165-132년]에게 붙잡힌 후파르티아 임금의 딸과 혼인하게 된다.  트리폰의 세력이 점점 확장되자니카토르의 형제이면 데메트리오스 I 소테르 [BC 162-150] 의 아들인안티오코스  VII 시데테스 [BC 138-129]가 자기 조상들의 땅인 시리아로 건너와 임금이 된다.   안티오코스는 시몬과 맺은 계약을 파기하고켄데베오스를 보내 유다를 공격하게 한다.  ▶마카베오기 상권 15장 본문더보기안티오코스가 유다인들에게 보낸 편지 Letter of Antiochus(NAB) Letter of Antiochus VII.(RN..

유다에 안정된 체제가 들어서다(1마카 14)

셀레우코스 왕조가 쇠퇴하는 과정에서이스라엘 백성은  유다 봉기를 이끌었던 마타티아스 집안의시몬 타씨를 새로운 지도자로 세운다.  시몬의 권위와 권한은"지도자와 대사제가 된다."(1마카 14,41) "자주색 옷을 입고 금 죔쇠를 찬다."(1마카 14,43)라는 본문에서 드러난다. 그렇지만 아직은 완전한 독립 국가 형태는 아니다. 그리스력 백칠십이년에 [▶BC 141/140년] 데메트리오스 2세 니카토르 임금은  트리폰과 싸우려고 군대를 모은 다음, 도움을 얻으러 메디아 Media로 간다.(1마카 14,1) 그러나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임금 아르사케스 Arsaces는 데메트리오스가 자기 영토에 들어왔다는 보고를 듣고, 그를 사로잡으라고 장수 하나를 보내어(1마카 14,2),데메트리오스의 군대를 치고 그를 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