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서 161

니네베를 두고 선포하신 하느님 말씀을 나는 믿는다. 토빗

프롤로그토빗기는 토빗이라는 주요 인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하는 역사서로서유다인의 경건함과 도덕성을 민간전승의 매혹적인 이야기 속에 녹여내어 기술하고 있다.토빗기는 역사서로 분류되지만자선, 기도, 단식 등의 지혜와 관련된 내용들을 고려하면'역사서' 및 '시서와 지혜서' 사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기원전 722/721년(▷고고학적 성경 연대 BC 723년)에 북이스라엘 왕국에서 니네베로 추방된 포로들 사이에 살고 있는 믿음이 강하고 부유한 이스라엘인 토빗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토빗기는 아모스서(토빗 2,6)와 나훔서(토빗 14,4)를 직접 언급하고 있다. 토빗기는 또한 이사야서는 물론예레미야서, 미카서, 스바니야서와도 시대적 배경을 공유한다.  따라서 제3 이사야서로 들어가기 전에역사학적인 역사가..

역사서/토빗기 2025.04.04

느헤미야가 개혁을 실시하다(느헤 13)

이방인들을 분리시키다Separation from Aliens 13 1그날 사람들은 모세의 책 the book of Moses을 백성에게 읽어 주었다. 거기에서 이러한 사실이 쓰여 있음을 발견하였다. 곧 암몬인과 모압인은 하느님의 회중에 영원히 들어올 수 없는데, [13,1] 신명 23,3–6.   [13,1 관련 본문]더보기[13,1] 신명 23,3–6. 3 사생아는 주님의 회중에 들 수 없고, 그의 십 대손까지도 주님의 회중에 들 수 없다. 4 암몬족과 모압족은 주님의 회중에 들 수 없고, 그들의 자손들은 십 대손까지도 결코 주님의 회중에 들 수 없다. 5 이는 너희가 이집트에서 나올 때, 그들이 빵과 물을 가지고 길에서 너희를 맞이하지 않았고, 너희를 저주하려고 브오르의 아들 발라암을 고용하여 아람 ..

느헤미야와 백성이 예루살렘 성벽을 봉헌하다(느헤 12)

즈루빠벨과 귀향한 사제들과 레위인Priests and Levites under ZerubbabelPriests and Levites at the Time of Zerubbabel.(RNAB) 12 1스알티엘 Shealtiel의 아들 즈루빠벨 Zerubbabel과 예수아 Jeshua와 함께 올라온 사제들과 레위인들은 이러하다. 스라야 Seraiah, 이르므야 Jeremiah, 에즈라 Ezra, [12,1] 느헤 12,12–22.  [12,1 관련 본문]더보기[12,1] 느헤 12,12–22. 12요야킴 Joiakim 때 각 가문의 우두머리 사제들은 이러하다.스라야 Seraiah 집안에서는 므라야 Meraiah,이르므야 Jeremiah 집안에서는 하난야 Hananiah,13에즈라 Ezra 집안에서는 므술람 ..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과 성읍들에 자리를 잡다(느헤 11)

III. DEDICATION OF THE WALL; OTHER REFORMS 성벽 봉헌(RNAB) 예루살렘에 자리를 잡은 이들Repeopling of JerusalemResettlement of Jerusalem.(RNAB) 11 1백성의 수령들 administrators은 예루살렘에 자리를 잡았다. 나머지 백성은 제비로 열 사람 가운데에서 하나를 뽑아 거룩한 도성 예루살렘에 자리를 잡게 하고, 아홉은 다른 성읍들에서 살게 하였다. [11,1] 느헤 7,4.  [11,1-19 주석] 관련 본문 해설더보기.[11,1-19] 느헤미야 시대에 예루살렘에 살았던 가문의 우두머리들의 목록인느헤 11,1-19는 느헤 7,72 이후에 읽는 것이 가장 좋다.이 목록은 여러 면에서 1역대 9,2-17에 있는 초기 정착민..

느헤미야가 맹약을 맺고 서명하다(느헤 10)

맹약을 맺고 서명하다 Agreement of the PeopleSignatories to the Pact.(RNAB) 10 1이 모든 것 때문에 In view of all this 우리는 맹약을 맺고 그것을 기록하였다. 밀봉한 그 문서에는 우리의 수령들과 레위인들과 사제들이 서명하였다. [10,1-39 주석] 관련 본문 해설더보기[10,1–39] 이 부분은 에즈라의 이야기라기보다는 느헤미야의 이야기에 속한다.느헤미야의 맹약 조항이 느헤미야 13장에 기록된 느헤미야의 조치를 전제로 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느헤 13,31 이후에 읽는 것이 가장 좋다.이 모든 것 때문에(느헤 10,1ㄱ): 느헤 13,4–31에 묘사된 상황을 고려한다.느헤미야의 개혁(smgp 13,4-31)2밀봉한 그 문서에 서명한 이는 ..

이스라엘의 후예들이 참회 기도를 바치다(느헤 9)

참회 기도Confession of the PeoplePublic Confession of Sin.(RNAB) [9,1-5 주석] 초막절 관련 본문 해설더보기[9,1-5] 초막절에는 회개 예배가 이어진다.외국인과의 분리가 포함되기 때문에어떤 이들은 이것을 에즈 9-10장의 후편으로 읽는다.9 1그[7]달 스무나흗[24]날,       [그달 ☞ 느헤미야기 본문의 연대별 배열에 따라,  BC 445년 일곱째 달, 티스리, 에타님 달, 9-10월?]이스라엘 자손들은 자루옷을 입고 흙을 뒤집어쓴 채, 단식하러 모여들었다. [9,1] 신명 9,3.   [9,1 관련 본문]더보기[9,1] 신명 9,3. 3 그러나 너희는 오늘 주 너희 하느님은 태워 버리는 불이 되시어 너희 앞에 서서 건너가시는 분이심을 알아야 한다..

에즈라가 율법을 봉독하다(느헤 8, BC 445.9-10)

II. PROMULGATION OF THE LAW 율법 선포(RNAB)[8,1-18] 관련 본문 해설더보기[8,1–18] 연대순으로 보면 이 내용은 에즈라가 에루살렘에 다다른(에즈 8,31- 36)이후에 속한다.느헤 8,9에서 느헤미야를 언급한 주석은에즈라-느헤미야의 여러 부분이 옮겨진 후에 이 에즈라 부분에 삽입되었다.느헤미야와 에즈라가 예루살렘에 동시에 있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느헤 12,26.​​36도 필사가 주석이다. 에즈라가 예루살렘에 도착하다(에즈 7,1-10)7 아르타크세르크세스 임금 제칠년 [BC 458년]에 이스라엘 자손들, 사제들, 레위인들, 성가대, 문지기들, 성전 막일꾼들 가운데 일부도 예루살렘으로 올라왔다.9는 첫째 달 초하룻날에 바빌론에서 여행을 시작하여, 그의 하느님의 너그..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경비를 세우다(느헤 7)

예루살렘에 경비를 세우다7 1성벽 공사가 끝나자 나는 성문을 만들어 달았다. 문지기들과 성가대와 레위인들도 임명되었다. 2나는 내 동기 하나니 Hanani와 성채 지휘관 commander of the citadel 하난야 Hananiah에게 예루살렘 경비를 맡겼다. 하난야는 진실한 사람이고 남달리 하느님을 경외하는 이였다. 3나는 그들에게 일렀다. “해가 뜨거워지기 전에는 성문을 열지 말고, 문지기들이 지켜 선 가운데 문을 닫아거시오. 예루살렘 주민들을 경비로 세우는데, 일부는 저마다 지정된 초소에, 일부는 제집 앞에 서게 하시오.”   Census of the Province.(RNAB)4도성은 넓고 컸지만 그 안의 백성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래서 집들도 아직 지어지지 않은 채였다. 일차 귀환자들의 ..

느헤미야가 성벽 공사를 끝내다(느헤 6, BC 445.8-9)

느헤미야에 대한 음모Plots against NehemiahPlots Against Nehemiah.(RNAB) 6 1마침내 내가 성벽을 다 쌓아, 허물어진 곳이 하나도 없게 되었다는 소식이 산발랏과 토비야와 아라비아 사람 게셈 Geshem과 그 밖의 우리 원수들 귀에 들어갔다. 그러나 그때까지는 내가 성문에 문짝을 만들어 달지 못하였다. 2산발랏과 게셈 Geshem은, “오노 Ono 들판에 있는 크피림 Caphirim으로 오시오. 거기에서 함께 만납시다.”라는 전갈을 보내왔다. 그러나 그들은 나를 해치려는 흉계를 꾸미고 있었다. 3그래서 나는 심부름꾼들을 보내어 이렇게 대답하였다. “나는 지금 큰 공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내려갈 수가 없소. 어찌 나더러 일을 버려 둔 채 당신들한테로 내려가서, 이 일이..

느헤미야가 사회의 불의에 개입하다(느헤 5)

느헤미야가 사회의 불의에 개입하다 Antisocial ConductSocial and Economic Problems.(RNAB) 5 1그런데 많은 사람이 저희 아내들과 함께 다른 유다인 동포들 때문에 크게 울부짖는 소리가 들려왔다. [5,1] 예레 34,8–22.  [5,1 주석] 다른 유다인 동포들 더보기[5,1] 다른 유다인 동포들:아마도 바빌로니아에서 돌아와 그 지방의 사회적, 경제적 엘리트를 형성한 유다인들이었을 것이다.[5,1 관련 본문]더보기[5,1] 예레 34,8–22.  히브리 종들에 대한 약속 위반(예레 34,8-22)2“우리 아들딸들, 게다가 우리까지 이렇게 식구가 많으니, 먹고 살려면 곡식을 가져와야 하지 않는가?” 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3“기근이 들어 곡식을 얻으려고 우리는 ..